AD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위협으로 촉발된 세계 무역시장의 불확실성 확대로 안전자산 수요가 크게 늘면서 세계 금 시장에도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영국에선 자국보다 금 가격이 높은 미국으로의 금 유출이 급증해 금 인출을 위해 몇 주나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고, 미국에선 재무부 금고에 실제로 금이 없다는 괴소문이 확산해 대대적인 감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과 스카이뉴스 등 영·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최근 뉴욕 월가의 대형 은행들이 금괴를 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기는데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과 런던에 본사를 둔 HSBC가 이런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고, 헤지펀드들까지 경쟁적으로 금 수송에 나선 상태입니다.
미국 주요 은행의 금 거래자들은 대서양을 건너 런던의 금 상가나 스위스의 제련소를 찾아가 금괴를 매입한 뒤 이를 뉴욕으로 안전한 항공편을 통해 옮겨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금괴 수송작전에 나선 것은 런던의 금 가격이 뉴욕의 시세보다 낮아 시세 차익을 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금괴를 뉴욕으로 옮기려는 수요가 쏠리면서 영국인들은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ank of England) 지하 금고에서 금괴를 인출 하기 위해 몇 주나 기다려야 하는 실정이라고 영국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최근 유럽에서 미국으로의 금 유입은 최근 몇 년 사이 최대 규모라는 것이 시장의 평가입니다.
영국 스카이뉴스는 이를 19세기 금이 발견된 지역으로 노동자들이 대거 이주했던 '골드 러시'(gold rush)에 빗대기도 했습니다.
영국에선 중앙은행의 금 보유고가 바닥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앤드루 베일리 영국중앙은행 총재는 이런 우려와 관련해 최근 스카이뉴스에 금 보유량이 부족하지는 않다면서도 최근 몇 달간 간 수십억 파운드 물량의 금괴가 대서양을 건너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런던은 주요 금 시장으로, 최근 런던과 뉴욕에서 금 가격의 상대적 변동이 있었다"면서 "금이 일부 뉴욕으로 건너갔지만, 엄청난 양은 아니다. 우리 금 보유량의 2% 미만"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전히 금고에 충분한 금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에선 재무부의 금 보관창고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이런 주장을 펴는 대표적인 인물이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지휘하는 억만장자 일론 머스크입니다.
머스크는 지난 17일 엑스에 "포트 녹스에서 금을 찾고 있다"면서 "포트 녹스에서 금이 도난당하지 않았는지 누가 확인하느냐. 금이 거기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그 금은 미국 대중의 것이다. 우리는 금이 거기에 아직 있는지 알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머스크는 자신이 실질적으로 지휘하는 정부효율부(DOGE)가 재무부 금 보관고에 대한 감사를 맡으면 된다는 생각입니다.
포트 녹스는 켄터키주에 있는 미 육군 기지의 이름으로, 이 기지 바로 옆에 재무부가 운영하는 금 보유고도 같은 이름으로 불립니다.
미 화폐주조국에 따르면 포트 녹스에는 1억4천730만 온스의 금이 저장돼 있는데 이는 재무부가 관리하는 금 보유량의 절반에 이르는 물량입니다.
미 재무부가 금이 온전히 잘 보관되고 있다고 여러 차례 밝혔음에도 머스크의 주장과 같은 의문은 끊이지 않았습니다.
포트 녹스의 금 보유고에 대한 대대적인 감사가 이뤄진 것이 1953년이 마지막이라는 점도 이런 의구심을 부채질했습니다.
그러나 머스크가 금 보유고 실사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밝힘에 따라 조만간 DOGE가 포트 녹스에 대한 조사에 나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금 관련 시장이 출렁이는 것은 트럼프 2기 정부 출범과 함께 금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장벽을 전방위로 확대하면서 세계 경제에는 인플레 압력 증가와 성장률 둔화 우려가 확산해 안전자산인 금의 인기가 더 커졌습니다.
특히 최근 금 수요 확대는 가중되는 물가상승 압력과 관련해 헤징(위험회피) 성격도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금값은 당분간 계속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됩니다.
미국의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올해 연말 금값 전망치를 최근 온스당 3천1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장벽을 비롯해 경제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투기 수요가 커지면서 금값이 온스당 최고 3천300달러에 달할 수도 있다고 골드만삭스는 관측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영국에선 자국보다 금 가격이 높은 미국으로의 금 유출이 급증해 금 인출을 위해 몇 주나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고, 미국에선 재무부 금고에 실제로 금이 없다는 괴소문이 확산해 대대적인 감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과 스카이뉴스 등 영·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최근 뉴욕 월가의 대형 은행들이 금괴를 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기는데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과 런던에 본사를 둔 HSBC가 이런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고, 헤지펀드들까지 경쟁적으로 금 수송에 나선 상태입니다.
미국 주요 은행의 금 거래자들은 대서양을 건너 런던의 금 상가나 스위스의 제련소를 찾아가 금괴를 매입한 뒤 이를 뉴욕으로 안전한 항공편을 통해 옮겨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금괴 수송작전에 나선 것은 런던의 금 가격이 뉴욕의 시세보다 낮아 시세 차익을 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금괴를 뉴욕으로 옮기려는 수요가 쏠리면서 영국인들은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ank of England) 지하 금고에서 금괴를 인출 하기 위해 몇 주나 기다려야 하는 실정이라고 영국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최근 유럽에서 미국으로의 금 유입은 최근 몇 년 사이 최대 규모라는 것이 시장의 평가입니다.
영국 스카이뉴스는 이를 19세기 금이 발견된 지역으로 노동자들이 대거 이주했던 '골드 러시'(gold rush)에 빗대기도 했습니다.
영국에선 중앙은행의 금 보유고가 바닥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앤드루 베일리 영국중앙은행 총재는 이런 우려와 관련해 최근 스카이뉴스에 금 보유량이 부족하지는 않다면서도 최근 몇 달간 간 수십억 파운드 물량의 금괴가 대서양을 건너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런던은 주요 금 시장으로, 최근 런던과 뉴욕에서 금 가격의 상대적 변동이 있었다"면서 "금이 일부 뉴욕으로 건너갔지만, 엄청난 양은 아니다. 우리 금 보유량의 2% 미만"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전히 금고에 충분한 금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에선 재무부의 금 보관창고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이런 주장을 펴는 대표적인 인물이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지휘하는 억만장자 일론 머스크입니다.
머스크는 지난 17일 엑스에 "포트 녹스에서 금을 찾고 있다"면서 "포트 녹스에서 금이 도난당하지 않았는지 누가 확인하느냐. 금이 거기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그 금은 미국 대중의 것이다. 우리는 금이 거기에 아직 있는지 알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머스크는 자신이 실질적으로 지휘하는 정부효율부(DOGE)가 재무부 금 보관고에 대한 감사를 맡으면 된다는 생각입니다.
포트 녹스는 켄터키주에 있는 미 육군 기지의 이름으로, 이 기지 바로 옆에 재무부가 운영하는 금 보유고도 같은 이름으로 불립니다.
미 화폐주조국에 따르면 포트 녹스에는 1억4천730만 온스의 금이 저장돼 있는데 이는 재무부가 관리하는 금 보유량의 절반에 이르는 물량입니다.
미 재무부가 금이 온전히 잘 보관되고 있다고 여러 차례 밝혔음에도 머스크의 주장과 같은 의문은 끊이지 않았습니다.
포트 녹스의 금 보유고에 대한 대대적인 감사가 이뤄진 것이 1953년이 마지막이라는 점도 이런 의구심을 부채질했습니다.
그러나 머스크가 금 보유고 실사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밝힘에 따라 조만간 DOGE가 포트 녹스에 대한 조사에 나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금 관련 시장이 출렁이는 것은 트럼프 2기 정부 출범과 함께 금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장벽을 전방위로 확대하면서 세계 경제에는 인플레 압력 증가와 성장률 둔화 우려가 확산해 안전자산인 금의 인기가 더 커졌습니다.
특히 최근 금 수요 확대는 가중되는 물가상승 압력과 관련해 헤징(위험회피) 성격도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금값은 당분간 계속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됩니다.
미국의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올해 연말 금값 전망치를 최근 온스당 3천100달러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장벽을 비롯해 경제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투기 수요가 커지면서 금값이 온스당 최고 3천300달러에 달할 수도 있다고 골드만삭스는 관측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