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구상에 대항해 이집트가 마련한 가자 재건 계획을 놓고 아랍 국가 정상들이 회담을 엽니다.
AFP 등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요르단 등 아랍국가 정상들이 현지시간 21일 사우디 리야드에 모입니다.
이집트가 초안을 짠 이 계획은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주변국으로 강제 이주시키지 않고 가자지구를 재건한 뒤, 무장정파 하마스를 배제한 지역위원회를 꾸려 통치하게 한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가자지구는 도시의 65%가 파괴된 상태로 재건에는 최소 3~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AFP가 보도한 재건계획 초안에 따르면 1단계로 첫 6개월 동안 가자지구에 중장비를 들여와 무너지고 파괴된 건물들 잔해를 수거해 치우고 가자지구 내에 안전지대를 설정해 주민들을 수용한다는 방침입니다.
2단계에서는 파괴된 인프라 재건에 집중하고, 마지막 3단계에선 주택, 교육·의료시스템 구축 등을 담은 도시정비 계획과 더불어 '두 국가 해법'의 실현을 위한 정치 로드맵을 본격 추진합니다.
로드맵에는 그동안 가자지구를 실질적으로 통치하면서 이스라엘과 전쟁을 벌여온 무장정파 하마스를 배제한 팔레스타인 정치주체들로 지역위원회를 구성해 통치하도록 하는 방안이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
유엔 추산으로 가자 재건 비용이 총 530억 달러에 이르는 상황에서 가장 큰 관건은 재원 조달 방안입니다.
재건 비용 중 우선 200억 달러는 걸프국가들이 공동으로 출자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습니다.
쿠웨이트 등 일부 산유국들은 기금을 흔쾌히 출연할 것으로 보이지만,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 등은 출자 조건으로 까다로운 단서를 붙일 가능성이 있어 논의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트럼프의 가자지구 구상은 가자지구에 거주하는 200만 명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주변국으로 강제 이주시키고 이곳을 미국의 소유로 해 국제적인 휴양지로 개발하겠다는 내용입니다.
이 구상은 장기적으로 팔레스타인의 독립국 수립을 지지해온 미국의 '두 국가 해법' 정책을 사실상 뒤집은 것으로 이에 대해 국제사회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YTN 신웅진 (ujsh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AFP 등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요르단 등 아랍국가 정상들이 현지시간 21일 사우디 리야드에 모입니다.
이집트가 초안을 짠 이 계획은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주변국으로 강제 이주시키지 않고 가자지구를 재건한 뒤, 무장정파 하마스를 배제한 지역위원회를 꾸려 통치하게 한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가자지구는 도시의 65%가 파괴된 상태로 재건에는 최소 3~5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AFP가 보도한 재건계획 초안에 따르면 1단계로 첫 6개월 동안 가자지구에 중장비를 들여와 무너지고 파괴된 건물들 잔해를 수거해 치우고 가자지구 내에 안전지대를 설정해 주민들을 수용한다는 방침입니다.
2단계에서는 파괴된 인프라 재건에 집중하고, 마지막 3단계에선 주택, 교육·의료시스템 구축 등을 담은 도시정비 계획과 더불어 '두 국가 해법'의 실현을 위한 정치 로드맵을 본격 추진합니다.
로드맵에는 그동안 가자지구를 실질적으로 통치하면서 이스라엘과 전쟁을 벌여온 무장정파 하마스를 배제한 팔레스타인 정치주체들로 지역위원회를 구성해 통치하도록 하는 방안이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
유엔 추산으로 가자 재건 비용이 총 530억 달러에 이르는 상황에서 가장 큰 관건은 재원 조달 방안입니다.
재건 비용 중 우선 200억 달러는 걸프국가들이 공동으로 출자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습니다.
쿠웨이트 등 일부 산유국들은 기금을 흔쾌히 출연할 것으로 보이지만,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 등은 출자 조건으로 까다로운 단서를 붙일 가능성이 있어 논의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트럼프의 가자지구 구상은 가자지구에 거주하는 200만 명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주변국으로 강제 이주시키고 이곳을 미국의 소유로 해 국제적인 휴양지로 개발하겠다는 내용입니다.
이 구상은 장기적으로 팔레스타인의 독립국 수립을 지지해온 미국의 '두 국가 해법' 정책을 사실상 뒤집은 것으로 이에 대해 국제사회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YTN 신웅진 (ujsh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