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연방 하원의원이 한국의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상무부에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미 하원 미중 전략경쟁 특별위원회 소속 잭 넌 의원(공화당)은 오늘(21일) 자신의 엑스 계정에 다이앤 패럴 상무부 차관보에 보낸 서한을 공개했습니다.
넌 의원은 중국과 연계된 기업들이 MBK파트너스가 주도하는 적대적 인수합병을 통해 글로벌 정제 아연 생산업체인 고려아연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핵심 광물 공급망에 대한 중국의 통제력이 더 강화될 수 있고, 미국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넌 의원은 또 고려아연은 미국 내에서도 계열사를 통해 상당한 영향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중국이 이미 안티몬, 인듐 같은 주요 광물의 대미 수출을 금지한 만큼 미국도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고려아연은 MBK파트너스·영풍과 경영권 분쟁을 겪고 있으며, MBK파트너스 투자자 중 중국투자공사(CIC)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난해 말에도 에릭 스왈웰 미 하원의원이 호세 페르난데스 미 국무부 차관에게 공식 서한을 보내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습니다.
YTN 김도원 (doh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 하원 미중 전략경쟁 특별위원회 소속 잭 넌 의원(공화당)은 오늘(21일) 자신의 엑스 계정에 다이앤 패럴 상무부 차관보에 보낸 서한을 공개했습니다.
넌 의원은 중국과 연계된 기업들이 MBK파트너스가 주도하는 적대적 인수합병을 통해 글로벌 정제 아연 생산업체인 고려아연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핵심 광물 공급망에 대한 중국의 통제력이 더 강화될 수 있고, 미국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넌 의원은 또 고려아연은 미국 내에서도 계열사를 통해 상당한 영향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중국이 이미 안티몬, 인듐 같은 주요 광물의 대미 수출을 금지한 만큼 미국도 중국에 대응하기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고려아연은 MBK파트너스·영풍과 경영권 분쟁을 겪고 있으며, MBK파트너스 투자자 중 중국투자공사(CIC)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난해 말에도 에릭 스왈웰 미 하원의원이 호세 페르난데스 미 국무부 차관에게 공식 서한을 보내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습니다.
YTN 김도원 (doh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