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총괄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한국 기업인들과 면담에서 대미 투자를 종용하면서 10억 달러라는 기준을 언급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러트닉 장관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이끄는 '대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과 지난 21일 40여 분간 만나 미국 제조업에 가능한 한 많이 투자하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특히 한 기업인이 수천만 달러의 대미 투자 계획을 소개하자 '최소한 10억 달러의 투자를 원한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무조건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고 요구한 게 아니라 10억 달러 투자부터 미국 정부의 신속한 처리 등 다양한 지원이 가능하다고 설명하는 취지였다고 한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 각서에 서명하고, 동맹의 대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객관적인 기준에 입각한 신속 처리 절차를 신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10억 달러를 넘는 대미 투자에 대한 환경 평가를 신속히 처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러트닉 장관은 사절단에게 10억 달러 미만의 투자에 대해서도 미국 정부가 지원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어 대미 투자가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드러내야 한다는 입장도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러트닉은 '투자를 약속하면 당장 1년 안에 착공과 같은 구체적인 추진을 보여야 한다'는 취지로 말해 기업이 투자를 약속만 하고 시간을 끄는 것은 용인할 수 없음을 시사했습니다.
사절단과의 면담에서는 관세 문제도 논의됐지만, 러트닉이 관세로 기업들을 압박하는 분위기는 아니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태원 회장은 대미 투자 계획에 대해 "검토는 계속할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생산 시설을 좀 더 원한다지만, 우리는 인센티브가 같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계속 미국이 세금도 내리겠다고 얘기를 하는데 구체적으로 나온 게 있어야 계획을 짜거나 반영을 하는데 아직 뭐가 나온 게 없다"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미국 측의 인센티브에 대해 "세금 인하 같은 금전 이외에 여러 가지 다른 종류가 있을 수 있다"며 "한국과 미국이 같이 해서 서로 좋은 것을 하는 게 지금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또 "이제는 단순히 상품 수출만으로 계속 먹고 살 수 없는 문제에 부딪히고 있다"며 "같이 활동해서 서로 시너지를 얻는 빅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미국이 비싼 인건비 등으로 인해 투자처로서 불리한 것도 있지만, 유리한 것도 있다면서 인공지능 분야 등은 다른 데보다 미국에 투자하는 게 지금 훨씬 좋고 유리하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트럼프 집권 1기부터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기까지 8년에 걸쳐 1,600억 달러(약 230조 원) 규모를 미국에 투자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선 전임 바이든 정부에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최 회장은 이번 방미 기간에 만난 미국 정계 인사가 미국이 해서 좋은 건 계속 집행이 잘될 것이라고 말했다며, "무조건 '준다, 안 준다'는 식으로 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검토를 해서 최소한 오는 4월쯤 발표를 한다고 하니 좀 기다려보자"고 덧붙였습니다.
조선, 에너지, 원자력, 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 대한상의가 준비한 한미 간 6개 협력 분야에 대해 최 회장은 "미국 측이 6개 다 상당히 좋아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20여 개의 경제 사절단을 만났으나, 이번 한국 민간 사절단과의 논의가 가장 생산적이었다"면서 향후 추가 논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러트닉 장관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이끄는 '대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과 지난 21일 40여 분간 만나 미국 제조업에 가능한 한 많이 투자하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특히 한 기업인이 수천만 달러의 대미 투자 계획을 소개하자 '최소한 10억 달러의 투자를 원한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무조건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고 요구한 게 아니라 10억 달러 투자부터 미국 정부의 신속한 처리 등 다양한 지원이 가능하다고 설명하는 취지였다고 한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 각서에 서명하고, 동맹의 대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객관적인 기준에 입각한 신속 처리 절차를 신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10억 달러를 넘는 대미 투자에 대한 환경 평가를 신속히 처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러트닉 장관은 사절단에게 10억 달러 미만의 투자에 대해서도 미국 정부가 지원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어 대미 투자가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드러내야 한다는 입장도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러트닉은 '투자를 약속하면 당장 1년 안에 착공과 같은 구체적인 추진을 보여야 한다'는 취지로 말해 기업이 투자를 약속만 하고 시간을 끄는 것은 용인할 수 없음을 시사했습니다.
사절단과의 면담에서는 관세 문제도 논의됐지만, 러트닉이 관세로 기업들을 압박하는 분위기는 아니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최태원 회장은 대미 투자 계획에 대해 "검토는 계속할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생산 시설을 좀 더 원한다지만, 우리는 인센티브가 같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계속 미국이 세금도 내리겠다고 얘기를 하는데 구체적으로 나온 게 있어야 계획을 짜거나 반영을 하는데 아직 뭐가 나온 게 없다"고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미국 측의 인센티브에 대해 "세금 인하 같은 금전 이외에 여러 가지 다른 종류가 있을 수 있다"며 "한국과 미국이 같이 해서 서로 좋은 것을 하는 게 지금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또 "이제는 단순히 상품 수출만으로 계속 먹고 살 수 없는 문제에 부딪히고 있다"며 "같이 활동해서 서로 시너지를 얻는 빅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미국이 비싼 인건비 등으로 인해 투자처로서 불리한 것도 있지만, 유리한 것도 있다면서 인공지능 분야 등은 다른 데보다 미국에 투자하는 게 지금 훨씬 좋고 유리하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트럼프 집권 1기부터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기까지 8년에 걸쳐 1,600억 달러(약 230조 원) 규모를 미국에 투자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선 전임 바이든 정부에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최 회장은 이번 방미 기간에 만난 미국 정계 인사가 미국이 해서 좋은 건 계속 집행이 잘될 것이라고 말했다며, "무조건 '준다, 안 준다'는 식으로 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검토를 해서 최소한 오는 4월쯤 발표를 한다고 하니 좀 기다려보자"고 덧붙였습니다.
조선, 에너지, 원자력, 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 대한상의가 준비한 한미 간 6개 협력 분야에 대해 최 회장은 "미국 측이 6개 다 상당히 좋아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20여 개의 경제 사절단을 만났으나, 이번 한국 민간 사절단과의 논의가 가장 생산적이었다"면서 향후 추가 논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