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관세 앞둔 트럼프, '더 세게 나가라' 압박"

"상호 관세 앞둔 트럼프, '더 세게 나가라' 압박"

2025.03.30. 오전 03:2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2일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두고, 고위 참모들에게 더 공세적인 관세 정책 입안을 주문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지시에 따라 참모들은 각국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책정할 상호 관세 발표 때 부과할 수입품의 정확한 범위를 숙고하고 있다고 워싱턴 포스트는 전했습니다.

상호 관세 부과의 범위와 관련해 가장 가능성 큰 옵션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최근 언급한 '더티 15'라고 신문은 전망했습니다.

미국을 상대로 무역 흑자를 크게 보는 15%의 무역 상대국을 의미하는 '더티 15' 국가들이 상호 관세의 핵심 목표가 될 것이라는 예상입니다.

지난해 기준 미국이 무역적자를 기록한 나라 중 중국과 멕시코, 베트남, 아일랜드, 독일, 일본 등에 이어 7∼8위권인 한국도 '더티 15'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25% 관세를 이미 시행했고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를 다음 달 3일부터 시행하기로 한 트럼프는 최근 '보편 관세' 구상도 되살렸다고 워싱턴 포스트는 전했습니다.

모든 품목 수입품에 대해 일률적으로 일정한 세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 관세'를 통해 관세와 관련한 예외의 구멍을 메울 수 있다는 것이 트럼프의 인식이라는 분석입니다.

이 신문은 또 트럼프가 집권 1기 때 자신에 대한 참모들의 '관세 확대 자제' 설득을 용납했던 것을 실수로 여기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물가 상승 등의 우려 목소리도 나오지만 트럼프는 관세를 통해 재정 수입 확충과 미국 내 제조업 기반 복원 등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판단을 굳힌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런 가운데 존 호븐 공화당 상원 의원은 지난 25일 일부 공화당 상원 의원들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 대표와 오찬 때 관세의 불확실성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고 워싱턴 포스트는 소개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