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반 이민정책이 조성한 이민 사회의 불안감이 합법적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영주권자에게까지 확산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현지시간 30일 미국에 재입국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로 최근 외국여행을 취소하는 미국 영주권자들이 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실제로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컬럼비아대의 친팔레스타인 시위와 관련해 영주권을 가진 학생 2명에 대한 추방을 시도해 논란이 됐습니다.
또 시위와는 무관하지만, 음주운전 유죄판결이 있는 한 독일 출신 영주권자는 미국에 재입국하는 과정에서 영주권 포기 서류에 서명하도록 강요받은 뒤 구금되기도 했습니다.
1천280만 명에 달하는 미국 영주권자는 투표만 할 수 없을 뿐 사실상 시민권자와 동일한 권리를 행사해왔지만,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영주권자에 대한 정의 자체가 달라지는 양상입니다.
JD 밴스 부통령은 최근 컬럼비아대 영주권자 학생의 체포와 관련해 "영주권자라도 미국에 무기한으로 있을 권리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정부가 특정 인물에 대해 '미국에 있어서는 안 될 인물'이라고 판단하고, 그 인물이 시민권자가 아니라면 추방도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영주권 발급 절차의 속도도 늦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엄격한 보안 심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난민 등의 영주권 신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했습니다.
미국의 싱크탱크 카토연구소의 이민정책 담당자 데이비드 비어는 "트럼프 행정부는 시민권자가 아니라면 모두 동일한 취급을 하겠다는 방침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며 "정부가 바라는 대로 행동하지 않으면 체포하고 추방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워싱턴포스트는 현지시간 30일 미국에 재입국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로 최근 외국여행을 취소하는 미국 영주권자들이 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실제로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컬럼비아대의 친팔레스타인 시위와 관련해 영주권을 가진 학생 2명에 대한 추방을 시도해 논란이 됐습니다.
또 시위와는 무관하지만, 음주운전 유죄판결이 있는 한 독일 출신 영주권자는 미국에 재입국하는 과정에서 영주권 포기 서류에 서명하도록 강요받은 뒤 구금되기도 했습니다.
1천280만 명에 달하는 미국 영주권자는 투표만 할 수 없을 뿐 사실상 시민권자와 동일한 권리를 행사해왔지만,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영주권자에 대한 정의 자체가 달라지는 양상입니다.
JD 밴스 부통령은 최근 컬럼비아대 영주권자 학생의 체포와 관련해 "영주권자라도 미국에 무기한으로 있을 권리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정부가 특정 인물에 대해 '미국에 있어서는 안 될 인물'이라고 판단하고, 그 인물이 시민권자가 아니라면 추방도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영주권 발급 절차의 속도도 늦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엄격한 보안 심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난민 등의 영주권 신청을 일시적으로 중단했습니다.
미국의 싱크탱크 카토연구소의 이민정책 담당자 데이비드 비어는 "트럼프 행정부는 시민권자가 아니라면 모두 동일한 취급을 하겠다는 방침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며 "정부가 바라는 대로 행동하지 않으면 체포하고 추방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