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연합뉴스
AD
해마다 4월 1일에는 가벼운 장난이나 그럴듯한 거짓말로 남을 속이며 즐긴다는 '만우절'을 맞아 많은 매체들이 관련 기사를 다뤘지만 이제는 더 이상 만우절 기사를 즐기지 못하게 됐다고 영국 공영방송 BBC가 보도했다.
BBC는 1957년 처음으로 만우절용 방송을 내보냈다. 스위스의 한 가족이 나무에서 스파게티 면을 수확한다는 이야기였다. 그 방송을 시작으로 4월 1일이 되면 터무니없거나 근거가 거의 없는 이야기들을 사실인 것처럼 보도해 독자들과 농담을 즐겼고, 이는 다른 매체들도 마찬가지였다.
10년 전만 해도 해외 신문에 만우절 기사가 너무 많아서 이를 모아 별도의 묶음 기사로 내보내곤 했는데, 어느덧 '가짜뉴스'의 여파로 뉴스 신뢰도가 중요해지면서 만우절 기사의 존재감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는 설명이다.
전문가 중 일부는 그 이유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부상에서 찾았다. 언론학자인 영국 카디프대 스튜어트 앨런 교수는 SNS가 떠오르면서 언론과 독자 사이에 다른 성격의 관계가 생겨났다고 진단했다.
앨런 교수는 "우리는 '가짜뉴스'와 허위 정보의 시대에 빠져있다. 이런 시대에 편집자들은 신뢰 문제를 가장 중요시한다"고 말했다.
또 만우절 기사가 줄어드는 것은 전반적으로 뉴스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커진 시대상에 따른 것으로, 이런 시기에 저널리즘의 신뢰도를 갖고 장난치는 것은 해로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뒤 달라진 세계 정세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뉴스 웹사이트 런던 센트릭의 편집자 짐 워터슨은 "사실에 기반한 모든 것을 '가짜뉴스'라고 일축하면서 너무나 기뻐하는 세계 지도자들이 있다면, 왜 그들에게 문자 그대로 가짜뉴스라는 무기를 건네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뉴스 소비자들이 SNS에서 뉴스를 접할 때 보도된 날짜에 얽매이지 않는 것도 만우절 기사의 인기가 시들해진 한 원인으로 꼽힌다. 종이신문으로 뉴스를 접할 당시와는 다르게 요즘 시대에는 첫 보도가 나오고 며칠, 몇 달, 몇 년이 지나도 해당 온라인 뉴스를 공유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생성형 인공지능(AI) 등장 이후 AI 이미지와 실제의 구분이 어려워지고 사실을 밝히는 언론의 역할이 더 커진 시대에 만우절 기사가 오히려 역효과를 낸다는 의견도 있다.
영국 셰필드대에서 저널리즘을 가르치는 비나 오그베보르 박사는 만우절 기사가 독자를 화나게 할 수도, 언론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만우절 기사가 여전히 사람들을 웃게 만드는 부분이 있다면서 언론이 만우절 기사를 게재하기로 했다면 매우 명백한 면책조항을 추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BBC는 1957년 처음으로 만우절용 방송을 내보냈다. 스위스의 한 가족이 나무에서 스파게티 면을 수확한다는 이야기였다. 그 방송을 시작으로 4월 1일이 되면 터무니없거나 근거가 거의 없는 이야기들을 사실인 것처럼 보도해 독자들과 농담을 즐겼고, 이는 다른 매체들도 마찬가지였다.
10년 전만 해도 해외 신문에 만우절 기사가 너무 많아서 이를 모아 별도의 묶음 기사로 내보내곤 했는데, 어느덧 '가짜뉴스'의 여파로 뉴스 신뢰도가 중요해지면서 만우절 기사의 존재감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는 설명이다.
전문가 중 일부는 그 이유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부상에서 찾았다. 언론학자인 영국 카디프대 스튜어트 앨런 교수는 SNS가 떠오르면서 언론과 독자 사이에 다른 성격의 관계가 생겨났다고 진단했다.
앨런 교수는 "우리는 '가짜뉴스'와 허위 정보의 시대에 빠져있다. 이런 시대에 편집자들은 신뢰 문제를 가장 중요시한다"고 말했다.
또 만우절 기사가 줄어드는 것은 전반적으로 뉴스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커진 시대상에 따른 것으로, 이런 시기에 저널리즘의 신뢰도를 갖고 장난치는 것은 해로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뒤 달라진 세계 정세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뉴스 웹사이트 런던 센트릭의 편집자 짐 워터슨은 "사실에 기반한 모든 것을 '가짜뉴스'라고 일축하면서 너무나 기뻐하는 세계 지도자들이 있다면, 왜 그들에게 문자 그대로 가짜뉴스라는 무기를 건네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뉴스 소비자들이 SNS에서 뉴스를 접할 때 보도된 날짜에 얽매이지 않는 것도 만우절 기사의 인기가 시들해진 한 원인으로 꼽힌다. 종이신문으로 뉴스를 접할 당시와는 다르게 요즘 시대에는 첫 보도가 나오고 며칠, 몇 달, 몇 년이 지나도 해당 온라인 뉴스를 공유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생성형 인공지능(AI) 등장 이후 AI 이미지와 실제의 구분이 어려워지고 사실을 밝히는 언론의 역할이 더 커진 시대에 만우절 기사가 오히려 역효과를 낸다는 의견도 있다.
영국 셰필드대에서 저널리즘을 가르치는 비나 오그베보르 박사는 만우절 기사가 독자를 화나게 할 수도, 언론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만우절 기사가 여전히 사람들을 웃게 만드는 부분이 있다면서 언론이 만우절 기사를 게재하기로 했다면 매우 명백한 면책조항을 추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