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에서 병력 절반에 가까운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외교안보 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에 따르면 영국 국방부는 지난달 28일 자 국방 정보 업데이트에서 "3월 현재 북한군은 러시아 쿠르스크에서의 공격 작전으로 5천 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으며, 이 가운데 약 3분의 1이 전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10∼11월쯤 이 지역에 배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군 병력 1만1천여 명의 절반에 육박하는 규모입니다.
북한군은 사상자가 대규모로 발생하자 잠시 철수했다가 정비를 거쳐 전선으로 돌아왔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지난달 27일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군 1만1천여 명 가운데 약 4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올해 1∼2월 약 3천 명 규모의 추가 파병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한다고 밝혔습니다.
영국 국방부는 "북한군의 높은 사상자 비율은 대규모로 소모적인 보병 진격 작전을 벌인 데서 기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북한군이 잘 훈련된 가공할 만한 전사들이지만 드론이 전장을 지배하는 현대전에는 준비돼 있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내셔널인터레스트는 지적했습니다.
북한군의 지원은 러시아가 쿠르스크 지역에서 반격을 통해 빼앗겼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됐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지난해 8월 기습 공격을 통해 우크라이나군은 쿠르스크에서 한때 1천300㎢에 이르는 땅을 장악했지만, 지금은 최소한의 발판만 지키고 있는 수준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북한군의 활동 영역은 여전히 쿠르스크에 국한돼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국제적으로 엄연히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인정받는 지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종 승인이 필요할 것이라고 영국 국방부는 내다봤습니다.
북한군의 추가 진격이 국제적으로 어떤 반응을 불러올지 모르는 만큼 양국 모두 고도의 전략적 고민을 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내셔널인터레스트는 "북한군의 쿠르스크군 배치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의 장거리 미사일 사용 승인으로 이어졌다"며 "북한군이 확전에 나선다면 서방의 비슷한 대응을 촉발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외교안보 전문지 '내셔널인터레스트'에 따르면 영국 국방부는 지난달 28일 자 국방 정보 업데이트에서 "3월 현재 북한군은 러시아 쿠르스크에서의 공격 작전으로 5천 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으며, 이 가운데 약 3분의 1이 전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10∼11월쯤 이 지역에 배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군 병력 1만1천여 명의 절반에 육박하는 규모입니다.
북한군은 사상자가 대규모로 발생하자 잠시 철수했다가 정비를 거쳐 전선으로 돌아왔습니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지난달 27일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군 1만1천여 명 가운데 약 4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올해 1∼2월 약 3천 명 규모의 추가 파병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한다고 밝혔습니다.
영국 국방부는 "북한군의 높은 사상자 비율은 대규모로 소모적인 보병 진격 작전을 벌인 데서 기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북한군이 잘 훈련된 가공할 만한 전사들이지만 드론이 전장을 지배하는 현대전에는 준비돼 있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내셔널인터레스트는 지적했습니다.
북한군의 지원은 러시아가 쿠르스크 지역에서 반격을 통해 빼앗겼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됐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지난해 8월 기습 공격을 통해 우크라이나군은 쿠르스크에서 한때 1천300㎢에 이르는 땅을 장악했지만, 지금은 최소한의 발판만 지키고 있는 수준으로 분석됩니다.
다만 북한군의 활동 영역은 여전히 쿠르스크에 국한돼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국제적으로 엄연히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인정받는 지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종 승인이 필요할 것이라고 영국 국방부는 내다봤습니다.
북한군의 추가 진격이 국제적으로 어떤 반응을 불러올지 모르는 만큼 양국 모두 고도의 전략적 고민을 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내셔널인터레스트는 "북한군의 쿠르스크군 배치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의 장거리 미사일 사용 승인으로 이어졌다"며 "북한군이 확전에 나선다면 서방의 비슷한 대응을 촉발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