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현지 시간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두고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연방준비제도 인사들의 발언이 잇따라 나왔습니다.
먼저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관세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을 모두 끌어올려 연준에 큰 도전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바킨 총재는 현지 시간 1일 뉴욕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관세로 인한 가격 충격은 돈을 더 주고 사고 싶지 않은 소비자들과 관세를 소비자에게 전가해야 한다고 믿는 공급자들 사이의 "케이지 매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그 결과가 어디로 향할지는 매우 흥미로울 것"이라며 "관세의 일부분은 분명히 가격에 전가될 것이기에 인플레이션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바킨 총재는 또 관세 영향의 일부는 노동시장에서도 느껴질 것이라며 가격을 올릴 수 없는 기업이라면 이익이 줄어들게 되고 곧 효율성 제고 노력을 시작하게 되며 이는 곧 인력감소를 의미한다고 짚었습니다.
바킨 총재는 실제로 어떤 정책들이 집행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도 관세가 인플레이션이나 경기 둔화를 다시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굴스비 총재는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수입이 미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에 그치기 때문에 관세가 전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관세가 부품이나 소재에 적용돼 광범위한 산업에서 생산비용을 높이거나 사람들이 겁을 먹고 행동을 바꾸기 시작해 소비를 중단하거나 기업이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를 중단하면 큰 혼란이 일어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실업률 같은 하드 데이터는 아직 견고하지만, 기업과 소비자의 심리가 급랭하는 조짐을 보이는 등 설문조사를 포함한 연성 데이터는 점점 더 약해지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애틀랜타 연준이 최근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업 재무책임자들은 관세가 올해 물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고용과 성장을 저해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기업의 절반 정도가 중국, 캐나다 또는 멕시코에서 물품을 수입했는데 "이들 기업은 덜 낙관적이고 매출 및 성장 감소, 가격 상승과 단가 상승을 예상했다"고 애틀랜타 연준은 설명했습니다.
설문조사 책임자인 다니엘 웨이츠는 관세에 직면한 응답자들이 가격 인상과 이익 감소 또는 프로젝트 취소 사이의 '밀고 당기기'에 빠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수입을 하는 기업이 처음에는 자체 비용에 맞춰 가격을 대략 인상할 것으로 보이는데 그 이후에는 "이익 압박을 받고 압박이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을 정도에 이르면 프로젝트를 취소해야 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내다봤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먼저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관세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을 모두 끌어올려 연준에 큰 도전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바킨 총재는 현지 시간 1일 뉴욕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관세로 인한 가격 충격은 돈을 더 주고 사고 싶지 않은 소비자들과 관세를 소비자에게 전가해야 한다고 믿는 공급자들 사이의 "케이지 매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그 결과가 어디로 향할지는 매우 흥미로울 것"이라며 "관세의 일부분은 분명히 가격에 전가될 것이기에 인플레이션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바킨 총재는 또 관세 영향의 일부는 노동시장에서도 느껴질 것이라며 가격을 올릴 수 없는 기업이라면 이익이 줄어들게 되고 곧 효율성 제고 노력을 시작하게 되며 이는 곧 인력감소를 의미한다고 짚었습니다.
바킨 총재는 실제로 어떤 정책들이 집행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도 관세가 인플레이션이나 경기 둔화를 다시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굴스비 총재는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수입이 미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에 그치기 때문에 관세가 전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관세가 부품이나 소재에 적용돼 광범위한 산업에서 생산비용을 높이거나 사람들이 겁을 먹고 행동을 바꾸기 시작해 소비를 중단하거나 기업이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를 중단하면 큰 혼란이 일어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실업률 같은 하드 데이터는 아직 견고하지만, 기업과 소비자의 심리가 급랭하는 조짐을 보이는 등 설문조사를 포함한 연성 데이터는 점점 더 약해지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애틀랜타 연준이 최근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기업 재무책임자들은 관세가 올해 물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고용과 성장을 저해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기업의 절반 정도가 중국, 캐나다 또는 멕시코에서 물품을 수입했는데 "이들 기업은 덜 낙관적이고 매출 및 성장 감소, 가격 상승과 단가 상승을 예상했다"고 애틀랜타 연준은 설명했습니다.
설문조사 책임자인 다니엘 웨이츠는 관세에 직면한 응답자들이 가격 인상과 이익 감소 또는 프로젝트 취소 사이의 '밀고 당기기'에 빠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수입을 하는 기업이 처음에는 자체 비용에 맞춰 가격을 대략 인상할 것으로 보이는데 그 이후에는 "이익 압박을 받고 압박이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을 정도에 이르면 프로젝트를 취소해야 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내다봤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