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에 미국 내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협상의 지렛대가 될 것이란 측면에서 긍정적이란 반응도 있었지만, 수출이 막히고 원자재 가격이 오른다는 이유로 부정적이란 평가도 나왔습니다.
뉴욕에서 이승윤 특파원입니다.
[기자]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미국 내 반응은 찬반이 명확하게 엇갈렸습니다.
우선 상호 관세가 '상한선' 역할을 하며 협상의 지렛대가 될 수 있다는 긍정적 반응이 나왔습니다.
[에밀리 킬크리스 / 미국 싱크탱크 'CNAS' 선임 연구원 : 상대국들은 무역 전쟁에서 벗어날 출구를 찾아야 한다고 느껴 미국과의 상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미국 농민연합을 중심으로는 미국산 수출이 어려워지고, 원자재 가격이 올라 부정적이란 의견도 제시됐습니다.
[밥 퀼렌 / 미국 농민연합 부회장 : 전방위로 공격받게 생겼습니다. 트럼프는 최고의 고객들을 괴롭히고 있어요. 멕시코는 밀 수출품의 60%를 수입합니다.]
뉴욕 증시에서는 상호 관세 관련 소식이 이미 주가에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3대 지수가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젠 불확실성이 걷히길 기대했지만, 무역 상대국들의 보복과 트럼프의 재보복 가능성에 긴장을 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 지난 1분기 기준 대형주 중심의 S&P 500지수는 4.6%, 나스닥지수는 10.4% 떨어지며 2022년 3분기 이후 최악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1분기에 2년 반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든 뉴욕 증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전쟁의 충격파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촬영 : 최고은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에 미국 내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협상의 지렛대가 될 것이란 측면에서 긍정적이란 반응도 있었지만, 수출이 막히고 원자재 가격이 오른다는 이유로 부정적이란 평가도 나왔습니다.
뉴욕에서 이승윤 특파원입니다.
[기자]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미국 내 반응은 찬반이 명확하게 엇갈렸습니다.
우선 상호 관세가 '상한선' 역할을 하며 협상의 지렛대가 될 수 있다는 긍정적 반응이 나왔습니다.
[에밀리 킬크리스 / 미국 싱크탱크 'CNAS' 선임 연구원 : 상대국들은 무역 전쟁에서 벗어날 출구를 찾아야 한다고 느껴 미국과의 상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미국 농민연합을 중심으로는 미국산 수출이 어려워지고, 원자재 가격이 올라 부정적이란 의견도 제시됐습니다.
[밥 퀼렌 / 미국 농민연합 부회장 : 전방위로 공격받게 생겼습니다. 트럼프는 최고의 고객들을 괴롭히고 있어요. 멕시코는 밀 수출품의 60%를 수입합니다.]
뉴욕 증시에서는 상호 관세 관련 소식이 이미 주가에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3대 지수가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젠 불확실성이 걷히길 기대했지만, 무역 상대국들의 보복과 트럼프의 재보복 가능성에 긴장을 풀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 지난 1분기 기준 대형주 중심의 S&P 500지수는 4.6%, 나스닥지수는 10.4% 떨어지며 2022년 3분기 이후 최악의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1분기에 2년 반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든 뉴욕 증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전쟁의 충격파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촬영 : 최고은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