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폭락하며 코로나19 초기였던 지난 2020년 이후 5년 만에 최악의 하루를 맞았습니다.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79.39포인트, 3.98% 폭락한 40,545.93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45포인트, 4.84% 폭락한 5,396.52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50.44포인트, 5.97% 폭락한 16,550.61에 각각 마감했습니다.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을 기록했고, 미국 증시에선 3조 천억 달러 규모의 시가 총액이 증발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보복 관세를 초래해 글로벌 무역 전쟁을 격화시키며 미국 경제에도 타격을 가할 것이란 우려가 투자자들을 공포에 휩싸이게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79.39포인트, 3.98% 폭락한 40,545.93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45포인트, 4.84% 폭락한 5,396.52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50.44포인트, 5.97% 폭락한 16,550.61에 각각 마감했습니다.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을 기록했고, 미국 증시에선 3조 천억 달러 규모의 시가 총액이 증발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보복 관세를 초래해 글로벌 무역 전쟁을 격화시키며 미국 경제에도 타격을 가할 것이란 우려가 투자자들을 공포에 휩싸이게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