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인 4명 가운데 1명은 북한이 남한을 침공할 경우 미국이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 한국인은 14명 중 1명만이 그렇게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또 미국인 20명 중 1명, 한국인 10명 중 1명은 북의 남침 시 미국이 핵무기를 사용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티머시 리치 미국 웨스턴 켄터키대 정치학과 교수는 현지시각 3일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를 통해 지난 2월 미국인 552명과 한국인 천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이 조사에서 미국인의 24.3%는 북의 남침 시 미국이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고, 49.4%는 미국이 무기·정보 등 군사지원을 제공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37.4%는 군대와 공중 지원 투입을, 12.8%는 전술 핵무기 사용을 지지했습니다.
군대와 공중 지원 투입에 대한 비교적 높은 지지는 미국이 한국에 2만8천500명 이상의 병력을 이미 주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거나, 전쟁에 따른 잠재적 사상자에 대한 민감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리치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그는 약 10명 중 1명이 핵무기 사용을 지지한 것은 놀라운 결과라면서,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유지되어 온 핵 금기를 깨려는 강한 의지로 보이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한국이 당할 실존적 위협이 핵무기라는 중대한 대응을 요구할 것이란 인식에 따른 여론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인 대상 조사에서는 미국이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으로 보는 비율이 7.1%에 그쳤는데, 이는 미군이 이미 한국에 주둔하고 있다는 사실을 한국인 대부분이 이미 알고 있는 사정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무기·정보 등 군사지원이 있을 것으로 보는 응답자는 62.9%로 미국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군대와 공중 지원을 투입을 예상하는 응답자는 미국보다 조금 높은 41.3%였는데, 리치 교수는 전통적인 억지 노력이 실패했을 경우 미국이 추가 자원 투입을 할 것을 확신하지 못하는 여론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핵무기 사용을 지지하는 응답은 21.2%로 미국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리치 교수는 "한국인은 북한이 남한을 침공할 경우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포함해 미국이 대응할 것이라는 더 큰 확신을 보이는 반면, 미국 응답자들은 이 시나리오에서 미국이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비율이 3배 이상 높았다"며 두 나라의 인식이 주목할만한 차이를 보였다고 총평했습니다.
그는 두 나라 모두 전쟁 상황의 심각성은 인정하지만, 한국이 미국의 도움을 지나치게 확신하고 있다는 점은 향후 미국과의 관계에서 우려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전술 핵무기 사용 의지가 드러난 것과 관련해서는 미국이 "한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이런 금기를 깨는 것이 향후 분쟁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대중이 충분히 이해하는지 폭넓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또 미국인 20명 중 1명, 한국인 10명 중 1명은 북의 남침 시 미국이 핵무기를 사용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티머시 리치 미국 웨스턴 켄터키대 정치학과 교수는 현지시각 3일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를 통해 지난 2월 미국인 552명과 한국인 천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이 조사에서 미국인의 24.3%는 북의 남침 시 미국이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고, 49.4%는 미국이 무기·정보 등 군사지원을 제공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37.4%는 군대와 공중 지원 투입을, 12.8%는 전술 핵무기 사용을 지지했습니다.
군대와 공중 지원 투입에 대한 비교적 높은 지지는 미국이 한국에 2만8천500명 이상의 병력을 이미 주둔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거나, 전쟁에 따른 잠재적 사상자에 대한 민감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리치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그는 약 10명 중 1명이 핵무기 사용을 지지한 것은 놀라운 결과라면서,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유지되어 온 핵 금기를 깨려는 강한 의지로 보이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한국이 당할 실존적 위협이 핵무기라는 중대한 대응을 요구할 것이란 인식에 따른 여론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인 대상 조사에서는 미국이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으로 보는 비율이 7.1%에 그쳤는데, 이는 미군이 이미 한국에 주둔하고 있다는 사실을 한국인 대부분이 이미 알고 있는 사정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무기·정보 등 군사지원이 있을 것으로 보는 응답자는 62.9%로 미국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군대와 공중 지원을 투입을 예상하는 응답자는 미국보다 조금 높은 41.3%였는데, 리치 교수는 전통적인 억지 노력이 실패했을 경우 미국이 추가 자원 투입을 할 것을 확신하지 못하는 여론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핵무기 사용을 지지하는 응답은 21.2%로 미국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리치 교수는 "한국인은 북한이 남한을 침공할 경우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포함해 미국이 대응할 것이라는 더 큰 확신을 보이는 반면, 미국 응답자들은 이 시나리오에서 미국이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비율이 3배 이상 높았다"며 두 나라의 인식이 주목할만한 차이를 보였다고 총평했습니다.
그는 두 나라 모두 전쟁 상황의 심각성은 인정하지만, 한국이 미국의 도움을 지나치게 확신하고 있다는 점은 향후 미국과의 관계에서 우려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전술 핵무기 사용 의지가 드러난 것과 관련해서는 미국이 "한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이런 금기를 깨는 것이 향후 분쟁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대중이 충분히 이해하는지 폭넓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