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적 대응이 최선"...화산 폭발 대비하는 과테말라

"예방적 대응이 최선"...화산 폭발 대비하는 과테말라

2025.04.06. 오전 04:1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과테말라는 이른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자리해 지진과 화산활동이 자주 발생합니다.

지난 2018년엔 푸에고 화산이 대폭발하며 사망자 200여 명에 달하기도 한 데다가, 지난달에도 화산 분출로 마을 주민 천여 명이 긴급 대피하는 상황도 있었는데요.

과테말라 정부는 화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김성우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희뿌연 화산재가 하늘로 치솟더니 시뻘건 용암이 분출합니다.

화산재 구름이 삽시간에 온 마을을 뒤덮고 자동차와 오토바이로 도망쳐보지만 역부족입니다.

지난 2018년, 40년 만에 푸에고 화산이 대폭발했을 당시 모습입니다.

당시 2백여 명이 사망한 참혹한 대폭발의 흔적은 지금도 주변 마을을 뒤덮고 있습니다.

[룻 리바스 / 포르베니르 마을 주민 : (오요테 마을은) 모든 걸 잃었습니다, 가 보시면 알겠지만, 폐허가 돼가는 빈집들만 덩그러니 있을 뿐이죠.]

수도 과테말라시티에서 남서쪽으로 50km 떨어진 푸에고 화산은 중미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화산으로 꼽힙니다.

지난달에도 7년 만에 분화가 시작해 주민 천여 명이 긴급 대피하기도 했을 정돕니다.

[프란시스코 게라 / 포르베니르 마을 주민 : 이젠 화산 활동이 격화되면 주민들이 대피를 잘하는 데, 예전 폭발의 공포감 때문일 겁니다.]

푸에고 화산이 언제 다시 분출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주민 약 13만 명이 영향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

과테말라 기상청은 24시간 화산 감시 활동을 하면서 재난대책본부와 지자체와의 연락망을 긴밀히 이루고 있습니다.

아울러 화산 폭발이 지진과도 관련된 만큼 지자체들은 주민을 대상으로 화산 분화 시 대응 요령을 교육하고 수시로 경보 체계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세르히오 곤잘레스 / 알로테난고 군수 : 제가 군수로서 주민들에게 말씀드리는 점은 사후 조치가 아닌 대피 등 예방적 대응만이 인명 피해를 막는 최선책이라는 것입니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아예 막을 순 없겠지만, 과테말라 사람들은 예방적 대응을 통해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과테말라에서 YTN 월드 김성우입니다.



YTN 김성우 (khj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