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뺀 모든 나라에 관세 부과를 90일간 중단하는 방안을 고려한다는 소식에 뉴욕 증시는 오전 한때 15분간 크게 요동쳤습니다.
결국, 백악관은 사실이 아니라며 진화에 나섰고, 트럼프가 중국에 추가 보복 관세 방침을 천명하며 3대 지수는 동반 하락했습니다.
뉴욕지국 연결해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승윤 특파원!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재보복 관세 방침을 천명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맞불 관세를 발표한 중국에 34%의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오는 9일부터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다만 "다른 나라와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는데 중국 외 국가들이 맞불 관세 대열에 합류하는 걸 막겠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일단 한국의 경우 8∼9일 미국을 찾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문 계기에 대미 협상이 이뤄질 전망입니다.
중국은 펜타닐 반입 문제로 적용된 20%의 관세에 34%의 상호관세, 50%의 추가 관세까지 부과될 경우 트럼프 취임 이후 104%의 관세를 얻어맞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미국으로 수입되는 중국산 가격은 트럼프 취임 이전의 갑절 이상으로 오를 전망입니다.
[앵커]
관세 소식으로 뉴욕 증시는 말 그대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관세 우려에 대형주 중심의 S&P 지수는 개장과 함께 5천 선이 깨지는 등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3거래일 연속 급락세로 시작했습니다.
이후 트럼프가 중국을 뺀 모든 나라에 관세 부과를 90일간 일시 중단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빠른 속도로 상승 반전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한때 전 거래일 대비 상승 폭이 3.4%를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 역시 4.5% 뛰었습니다.
불과 7분 만에 S&P 지수에 2억 5천만 달러의 자금이 몰려들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백악관이 '90일 관세 일시 중단' 보도는 가짜 뉴스라고 밝히면서 뉴욕 증시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15분 만에 증시가 크게 요동쳤던 광란이었다"고 보도했습니다.
경제 전문가의 얘기를 들어보시죠.
[폴 도노반 / UBS 글로벌 자산 관리 경제 분석가 : 증시 하락 이유는 정책 능력 부족과 부정적 경제 시나리오, 경기 침체 우려 때문이며 소비자의 우려 사항이 될 겁니다.]
이후 트럼프가 중국에 추가 보복 관세 방침을 천명했지만, 다른 나라와는 협상 의사를 밝히며 3대 지수는 혼조새를 보이고 잇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는 관세와 관련한 최우선 과제로 인플레이션 관리를 강조했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과 마찬가지로 아직은 경기 침체 방지에 방점을 둔 금리 인하에 어느 정도 선을 그은 신중론으로 풀이됩니다.
하지만 경제 전문가들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에 대응해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뺀 모든 나라에 관세 부과를 90일간 중단하는 방안을 고려한다는 소식에 뉴욕 증시는 오전 한때 15분간 크게 요동쳤습니다.
결국, 백악관은 사실이 아니라며 진화에 나섰고, 트럼프가 중국에 추가 보복 관세 방침을 천명하며 3대 지수는 동반 하락했습니다.
뉴욕지국 연결해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승윤 특파원!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재보복 관세 방침을 천명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맞불 관세를 발표한 중국에 34%의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오는 9일부터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다만 "다른 나라와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는데 중국 외 국가들이 맞불 관세 대열에 합류하는 걸 막겠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일단 한국의 경우 8∼9일 미국을 찾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문 계기에 대미 협상이 이뤄질 전망입니다.
중국은 펜타닐 반입 문제로 적용된 20%의 관세에 34%의 상호관세, 50%의 추가 관세까지 부과될 경우 트럼프 취임 이후 104%의 관세를 얻어맞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미국으로 수입되는 중국산 가격은 트럼프 취임 이전의 갑절 이상으로 오를 전망입니다.
[앵커]
관세 소식으로 뉴욕 증시는 말 그대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관세 우려에 대형주 중심의 S&P 지수는 개장과 함께 5천 선이 깨지는 등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3거래일 연속 급락세로 시작했습니다.
이후 트럼프가 중국을 뺀 모든 나라에 관세 부과를 90일간 일시 중단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빠른 속도로 상승 반전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한때 전 거래일 대비 상승 폭이 3.4%를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 역시 4.5% 뛰었습니다.
불과 7분 만에 S&P 지수에 2억 5천만 달러의 자금이 몰려들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백악관이 '90일 관세 일시 중단' 보도는 가짜 뉴스라고 밝히면서 뉴욕 증시에 찬물을 끼얹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15분 만에 증시가 크게 요동쳤던 광란이었다"고 보도했습니다.
경제 전문가의 얘기를 들어보시죠.
[폴 도노반 / UBS 글로벌 자산 관리 경제 분석가 : 증시 하락 이유는 정책 능력 부족과 부정적 경제 시나리오, 경기 침체 우려 때문이며 소비자의 우려 사항이 될 겁니다.]
이후 트럼프가 중국에 추가 보복 관세 방침을 천명했지만, 다른 나라와는 협상 의사를 밝히며 3대 지수는 혼조새를 보이고 잇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의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는 관세와 관련한 최우선 과제로 인플레이션 관리를 강조했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과 마찬가지로 아직은 경기 침체 방지에 방점을 둔 금리 인하에 어느 정도 선을 그은 신중론으로 풀이됩니다.
하지만 경제 전문가들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트럼프의 관세 전쟁에 대응해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