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딥시크 앞세워 미국 AI 맹추격...1년 만에 격차 9.3→1.7%

중국, 딥시크 앞세워 미국 AI 맹추격...1년 만에 격차 9.3→1.7%

2025.04.08. 오전 06:3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지난 1월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이 전 세계를 강타한 가운데 중국과 미국의 AI 기술 격차가 1년 만에 크게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스탠퍼드대 인간 중심 AI 연구소(HAI)는 AI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는 플랫폼 'LMSYS 챗봇 아레나'에서 미국과 중국의 최고 AI 간 성능 차이는 지난 2월 1.7%로 나타났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1년여 전인 지난해 1월 9.3%에서 크게 줄었습니다.

2월 미국 최고의 AI 모델인 구글이 언어와 사고, 수학 코딩 능력을 종합한 성능 평가에서 받은 점수(1,385점)와 중국 최고의 AI 모델인 딥시크가 받은 점수(1,362점)를 비교한 결과입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는 1,366점을 받아 구글보다 약간 뒤졌습니다.

또 대규모 멀티태스크 언어 이해 능력 평가(MMLU)에서 두 나라 간 격차는 2023년 말 17.5%였는데, 지난해 말에는 0.3%로 줄어들었습니다.

과학과 예술, 공학 등 범용 인공 지능(AGI)의 기능을 시험하는 벤치마크(MMMU) 격차는 같은 기간 13.5%에서 8.1%로 감소했습니다.

수학 풀이 성능은 24.3%에서 1.6%로, 다중 언어 코드 생성 평가(HumanEval)는 31.6%에서 3.7%로 크게 좁아지는 등 모든 성능에서 격차는 줄어들었습니다.

딥시크가 1월 출시한 추론 모델 R1은 저렴한 개발 비용으로 미국 최고의 AI 모델에 버금가는 성능을 구현해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보고서는 "딥시크의 R1 출시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의 일부만을 사용해 해당 성능을 달성했다고 회사 측이 발표해 또 다른 주목을 받았다"고 평가했습니다.

또 "이는 미국 증시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가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불러일으켰다"고 짚었습니다.

지난해 출시한 주목할 만한 AI 모델 수에서도 중국은 15개로 40개의 미국과 25개 차이가 났습니다.

이는 2022년 미국 70개, 중국 20개에서 줄어든 수준입니다.

프랑스는 3개, 한국을 비롯해 캐나다,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는 1개의 모델을 출시했습니다.

지난해 AI에 대한 민간 부문 투자는 미국이 1,099억 8천만 달러(161조 8천억 원)로 중국(92억 9천만 달러)의 10배를 넘었습니다.

2023년 전 세계 컴퓨터 과학(CS) 분야 논문 중 중국의 논문 비중이 23.2%로 미국(9.2%)을 크게 앞질렀고, 중국은 지난해 전체 AI 특허의 69.7%를 차지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