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파나마를 찾아 중국의 안보 위협 가능성을 주장하며 "중국으로부터 운하를 안전하게 지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헤그세스 장관은 현지 시간 8일 파나마시티에서 호세 라울 물리노 대통령을 예방한 뒤 파나마 운하 인근 부두를 방문해 "파나마 운하가 중국의 지속적인 위협에 직면하고 있지만, 미국과 파나마는 함께 운하를 되찾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국이 기업 간 상업적 관계를 '스파이 활동'에 이용하는 방식 등으로 운하를 '무기화'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분명한 건 중국이 이 운하를 건설하지 않았다는 점"이라며 "운하를 모든 국가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AP는 전했습니다.
이에 대해 주파나마 중국대사관은 중국이 파나마운하 운영에 개입하고 있다는 헤그세스 장관의 주장을 반박하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중국대사관은 "중국은 파나마운하 관리나 운영에 참여한 적이 없으며, 이 운하와 관련된 사안에 개입한 적도 없다"면서 미국에 파나마운하에 대한 협박과 약탈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미국은 파나마 운하 건설(1914년 완공) 주도 후 85년 넘게 파나마 운하를 관리하다가 1977년 협약 등을 거쳐 1999년에 파나마 정부에 운영권을 넘겼습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성조기가 디자인된 손수건을 재킷 주머니에 넣고 성조기 문양 벨트를 찬 채 일정을 소화해 눈길을 끌었다고 일간 라프렌사파나마는 전했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중국의 영향력 행사 등을 이유로 파나마 운하 환수 필요성을 여러 차례 밝히면서, "무력 사용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의 압박 속에 홍콩계 기업 CK 허치슨 홀딩스는 파나마 운하 2개 항구 운영 사업 부문을 미국계 자산운용회사 블랙록 컨소시엄에 넘기기로 하고 관련 거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파나마 검찰은 이날 CK 허치슨 측 파나마 운하 운영 자회사인 파나마 포트 컴퍼니에 대한 수사 개시를 발표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이는 파나마 감사 당국의 감사 결과에 따른 것입니다.
전날 파나마 감사원은 파나마 포트 컴퍼니의 항구 운영 실태에 대해 감사를 진행한 결과, 결제 불이행과 회계 오류 등 법 위반 사례가 발견됐다고 발표했습니다.
파나마 감사원은 관련 보도자료에서 "파나마 포트 컴퍼니가 최소 3억 달러(4천400억 원)를 더 지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우에 따라선 파나마 정부가 검찰 수사 결과를 CK 허치슨 측과의 계약 관계를 정리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헤그세스 장관은 현지 시간 8일 파나마시티에서 호세 라울 물리노 대통령을 예방한 뒤 파나마 운하 인근 부두를 방문해 "파나마 운하가 중국의 지속적인 위협에 직면하고 있지만, 미국과 파나마는 함께 운하를 되찾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중국이 기업 간 상업적 관계를 '스파이 활동'에 이용하는 방식 등으로 운하를 '무기화'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분명한 건 중국이 이 운하를 건설하지 않았다는 점"이라며 "운하를 모든 국가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AP는 전했습니다.
이에 대해 주파나마 중국대사관은 중국이 파나마운하 운영에 개입하고 있다는 헤그세스 장관의 주장을 반박하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중국대사관은 "중국은 파나마운하 관리나 운영에 참여한 적이 없으며, 이 운하와 관련된 사안에 개입한 적도 없다"면서 미국에 파나마운하에 대한 협박과 약탈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미국은 파나마 운하 건설(1914년 완공) 주도 후 85년 넘게 파나마 운하를 관리하다가 1977년 협약 등을 거쳐 1999년에 파나마 정부에 운영권을 넘겼습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성조기가 디자인된 손수건을 재킷 주머니에 넣고 성조기 문양 벨트를 찬 채 일정을 소화해 눈길을 끌었다고 일간 라프렌사파나마는 전했습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중국의 영향력 행사 등을 이유로 파나마 운하 환수 필요성을 여러 차례 밝히면서, "무력 사용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의 압박 속에 홍콩계 기업 CK 허치슨 홀딩스는 파나마 운하 2개 항구 운영 사업 부문을 미국계 자산운용회사 블랙록 컨소시엄에 넘기기로 하고 관련 거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파나마 검찰은 이날 CK 허치슨 측 파나마 운하 운영 자회사인 파나마 포트 컴퍼니에 대한 수사 개시를 발표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이는 파나마 감사 당국의 감사 결과에 따른 것입니다.
전날 파나마 감사원은 파나마 포트 컴퍼니의 항구 운영 실태에 대해 감사를 진행한 결과, 결제 불이행과 회계 오류 등 법 위반 사례가 발견됐다고 발표했습니다.
파나마 감사원은 관련 보도자료에서 "파나마 포트 컴퍼니가 최소 3억 달러(4천400억 원)를 더 지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우에 따라선 파나마 정부가 검찰 수사 결과를 CK 허치슨 측과의 계약 관계를 정리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