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얀마 강진 피해 복구 지원을 위해 현지에 파견한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직원들을 해고해, 미국의 지원이 사실상 마비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현지 시간 9일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현지 미 국제개발처 직원 3명으로 구성된 지원 평가팀이 미얀마에 도착한 지 며칠 만인 지난 5일에 전원 해고됐다고 전·현직 USAID 관계자 3명이 전했습니다.
워싱턴DC·태국 방콕·필리핀 마닐라에서 개별적으로 미얀마로 날아온 이들은 지진 피해 지역인 만달레이에서 해고 통보 이메일을 직접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워싱턴DC의 USAID 직원들은 이들의 해고 소식을 듣고 충격을 받고 분노를 나타냈으며, 특히 이들이 강진 피해 현장에서 일하는 와중에 해고를 통보한 것은 잔혹하게 여겨졌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또 이제 그들이 미얀마에서 어떤 일을 할지 불확실하며, 이번 해고로 USAID 해체에도 일부 인도적·위기 지원을 지속하겠다는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의 약속에 의문이 제기된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 국무부는 미얀마에 파견된 이들이 야외에서 하룻밤을 보낸 뒤 건물에 머물고 있다면서 특정 직원의 고용 상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말 미얀마를 덮친 규모 7.7의 강진으로 지금까지 약 3,600명의 사망자가 확인된 가운데 미국은 총 900만 달러(약 134억 원)의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도 강진 발생 직후인 지난달 28일 지진이 "끔찍한 일"이라면서 "우리는 도울 것이며 이미 그 나라와 이야기를 나눴다"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USAID 해체로 강진 대응을 준비하던 인력이 대부분 해고되는 등 원조를 현지에 전달할 시스템이 무너진 가운데 실제 지원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피해 현장에 파견한 유일한 인력인 평가팀 직원들마저 옷을 벗게 되면서 미국의 미얀마 강진 지원이 사실상 중단되거나 최소한 상당한 차질을 겪게 됐습니다.
반면 미얀마 군사정권과 가까운 중국, 러시아는 지진 직후 즉각적으로 구조 인력·물자를 현지에 보내는 등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 피해 현장에서 미국의 공백이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중국은 강진 하루 뒤인 지난달 29일 구조 인력 500여 명과 1억 위안(약 200억 원) 규모의 구호물자를 현지에 급파, 구조·구호 작업을 벌였습니다.
러시아 정부도 같은 날 구조대원 120명과 구호물자를 비행기 2대로 파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과 동시에 미국의 해외원조를 90일간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으며, USAID는 해체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지 시간 9일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현지 미 국제개발처 직원 3명으로 구성된 지원 평가팀이 미얀마에 도착한 지 며칠 만인 지난 5일에 전원 해고됐다고 전·현직 USAID 관계자 3명이 전했습니다.
워싱턴DC·태국 방콕·필리핀 마닐라에서 개별적으로 미얀마로 날아온 이들은 지진 피해 지역인 만달레이에서 해고 통보 이메일을 직접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워싱턴DC의 USAID 직원들은 이들의 해고 소식을 듣고 충격을 받고 분노를 나타냈으며, 특히 이들이 강진 피해 현장에서 일하는 와중에 해고를 통보한 것은 잔혹하게 여겨졌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또 이제 그들이 미얀마에서 어떤 일을 할지 불확실하며, 이번 해고로 USAID 해체에도 일부 인도적·위기 지원을 지속하겠다는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의 약속에 의문이 제기된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 국무부는 미얀마에 파견된 이들이 야외에서 하룻밤을 보낸 뒤 건물에 머물고 있다면서 특정 직원의 고용 상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말 미얀마를 덮친 규모 7.7의 강진으로 지금까지 약 3,600명의 사망자가 확인된 가운데 미국은 총 900만 달러(약 134억 원)의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도 강진 발생 직후인 지난달 28일 지진이 "끔찍한 일"이라면서 "우리는 도울 것이며 이미 그 나라와 이야기를 나눴다"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USAID 해체로 강진 대응을 준비하던 인력이 대부분 해고되는 등 원조를 현지에 전달할 시스템이 무너진 가운데 실제 지원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피해 현장에 파견한 유일한 인력인 평가팀 직원들마저 옷을 벗게 되면서 미국의 미얀마 강진 지원이 사실상 중단되거나 최소한 상당한 차질을 겪게 됐습니다.
반면 미얀마 군사정권과 가까운 중국, 러시아는 지진 직후 즉각적으로 구조 인력·물자를 현지에 보내는 등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 피해 현장에서 미국의 공백이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중국은 강진 하루 뒤인 지난달 29일 구조 인력 500여 명과 1억 위안(약 200억 원) 규모의 구호물자를 현지에 급파, 구조·구호 작업을 벌였습니다.
러시아 정부도 같은 날 구조대원 120명과 구호물자를 비행기 2대로 파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과 동시에 미국의 해외원조를 90일간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으며, USAID는 해체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