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주요 교역국에 90일 상호 관세 부과 유예를 발표하면서 주요 대형 기술주가 폭등했습니다.
뉴욕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15.33% 치솟은 198.85달러, 28만 8,730원에 거래를 마치며 1998년 이후 27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애플 주가는 소폭 상승 출발한 뒤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에 한때 200달러 선을 회복하는 등 앞선 하락분의 상당 부분을 회복했습니다.
시가 총액도 2조 9,879억 달러로 불어나며 3조 달러선 탈환을 눈앞에 뒀습니다.
이날 하루에만 삼성전자 시총(2,392억 달러)의 1.6배인 3,970억 달러(576조 원)가 늘었습니다.
이에 10.13% 상승한 마이크로소프트(MS)에 전날 내줬던 시가 총액 1위 자리도 하루 만에 되찾았습니다.
앞서 지난 4일간 애플 주가는 23% 폭락하며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이후 4일간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AI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는 18.72% 급등한 114.33달러에 마감하며 단숨에 100달러 선을 넘어 110달러 선까지 회복했고, 주가 폭등에 시총도 4,400달러 증가했습니다.
트럼프의 최측근이자,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효율부 수장인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22.69% 상승해 주요 대형 기술주 가운데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시총도 1,620억 달러 늘어나며 8,75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아마존과 구글 모회사 알파벳,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 주가도 각각 11.98%, 9.88%, 14.76% 급등 마감했습니다.
시총도 2,170억 달러, 1,860억 달러, 1,910억 달러씩 늘어났습니다.
MS 시총도 2,670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하루에만 이들 7개 대형 기술주의 시총은 1조 8,600억 달러(2,700조 원)가 증가했습니다.
대형 기술주의 급등은 트럼프가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 관세 90일 유예를 발표한 데 따른 것입니다.
그동안 높은 상호관세로 미국 이외 지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이들 기업의 이익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됐습니다.
관세 영향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했던 반도체주들도 일제히 반등했습니다.
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 주가가 18.66% 올랐고,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타이완 TSMC 주가는 12.29% 상승했습니다.
퀄컴과 AMD도 15.19%와 23.82% 각각 강세를 나타내며 장을 끝냈습니다.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8.73% 폭등 마감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욕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15.33% 치솟은 198.85달러, 28만 8,730원에 거래를 마치며 1998년 이후 27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애플 주가는 소폭 상승 출발한 뒤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에 한때 200달러 선을 회복하는 등 앞선 하락분의 상당 부분을 회복했습니다.
시가 총액도 2조 9,879억 달러로 불어나며 3조 달러선 탈환을 눈앞에 뒀습니다.
이날 하루에만 삼성전자 시총(2,392억 달러)의 1.6배인 3,970억 달러(576조 원)가 늘었습니다.
이에 10.13% 상승한 마이크로소프트(MS)에 전날 내줬던 시가 총액 1위 자리도 하루 만에 되찾았습니다.
앞서 지난 4일간 애플 주가는 23% 폭락하며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이후 4일간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AI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는 18.72% 급등한 114.33달러에 마감하며 단숨에 100달러 선을 넘어 110달러 선까지 회복했고, 주가 폭등에 시총도 4,400달러 증가했습니다.
트럼프의 최측근이자,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효율부 수장인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22.69% 상승해 주요 대형 기술주 가운데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시총도 1,620억 달러 늘어나며 8,75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아마존과 구글 모회사 알파벳,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 주가도 각각 11.98%, 9.88%, 14.76% 급등 마감했습니다.
시총도 2,170억 달러, 1,860억 달러, 1,910억 달러씩 늘어났습니다.
MS 시총도 2,670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하루에만 이들 7개 대형 기술주의 시총은 1조 8,600억 달러(2,700조 원)가 증가했습니다.
대형 기술주의 급등은 트럼프가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 관세 90일 유예를 발표한 데 따른 것입니다.
그동안 높은 상호관세로 미국 이외 지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이들 기업의 이익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됐습니다.
관세 영향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했던 반도체주들도 일제히 반등했습니다.
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 주가가 18.66% 올랐고,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타이완 TSMC 주가는 12.29% 상승했습니다.
퀄컴과 AMD도 15.19%와 23.82% 각각 강세를 나타내며 장을 끝냈습니다.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8.73% 폭등 마감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