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차 부품 관세 면제 시사에 뉴욕 증시 상승

트럼프 차 부품 관세 면제 시사에 뉴욕 증시 상승

2025.04.15. 오전 05:1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뉴욕 증시 3대 지수, 일제히 약 1% 상승세로 마감
트럼프의 관세 정책 유연성 기대 심리 커진 여파
골드만삭스 호성적 기록했지만…투자 의견은 ’냉랭’
뉴욕 연준 "관세·불확실성, 소비 심리에 반영돼"
AD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를 시사하면서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소비자들의 1년 뒤 인플레이션 예상치는 3.6%로 18개월 만에 제일 높았고, 실업률 증가 전망은 5년 만에 가장 높아졌습니다.

뉴욕지국을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이승윤 특파원!

뉴욕 증시 상황 전해주시죠.

[기자]
네,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거래일이 나흘로 단축된 4월 셋째 주의 첫 거래일을 동반 상승세로 마무리했습니다.

이번 주 뉴욕 증시는 부활절 직전인 오는 18일 성 금요일 휴장으로 거래일이 4일로 짧아집니다.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와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지수,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 지수 모두 약 1%씩 올랐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관세 정책의 유연성에 대한 기대 심리가 커진 여파로 풀이됩니다.

앞서 지난 주말 트럼프 행정부는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프로세서·메모리 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 관세에서 제외했습니다.

글로벌 투자 은행 골드만 삭스는 1분기 매출이 150억 달러로 역대 3번째 큰 규모의 실적을 올렸습니다.

순이익은 47억 달러로 1년 전보다 15% 급증했고, 주식 거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늘었습니다.

하지만 투자 은행 모건 스탠리는 "관세 불확실성이 자본 시장 활동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며 투자 의견을 비중 확대에서 동일 비중으로 낮췄습니다.

골드만삭스는 불확실성과 무역 전쟁이 미국과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해 기업들의 주요 의사결정을 제약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경제 전문가의 얘기를 들어보시죠.

[크리스 콘스탄티노스 / 리버프런트 투자 그룹 최고 투자 전략가 : 시장에 엄청난 부정적 투자 심리가 있습니다. 군중 심리를 추적 조사하니 역사적 수준의 극단적 비관론이 존재합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소비자들의 1년 뒤 인플레이션 예상치가 3.6%로 지난 2023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은 지난달 소비자 예상 1년 뒤 인플레이션 예상치가 3.6%으로 2월의 3.1%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또 소비자들은 1년 뒤 실업률이 더 높아질 확률을 44%로 평가했는데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였던 2020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실직 가능성에 대한 인식도 15.7%로 최근 1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고, 소득 증가 기대치는 2.8%로 전월 대비 0.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뉴욕 연준은 이런 결과가 최근 트럼프의 관세 등 무역 정책과 경제 불확실성, 생활비 부담이 소비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