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애플이 수요 증가보다는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출하 속도를 높이면서 올해 1분기 아이폰 출하량이 1년 전보다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 조사 기관 IDC는 애플이 올해 1∼3월 5,790만 대의 아이폰을 출하해 지난해 1분기 5,260만 대보다 10%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IDC는 이런 출하량 증가가 갑작스러운 수요 증가에 기인한 것은 아니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에 대비해 재고를 비축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애플을 포함해 미국의 여러 소비자 기술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조치에 대비해 수개월 동안 미국 내 유통 채널에 재고를 쌓아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DC는 "공급 급증은 비용 상승과 공급망 혼란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실제 소비자 수요를 기반으로 한 예상치보다 1분기 출하량이 부풀려졌다"고 분석했습니다.
1분기 6,060만 대를 출하해 점유율 1위(19.9%)를 차지한 삼성전자가 지난해 1분기보다 출하량이 0.6%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애플은 출하량을 대폭 늘린 셈입니다.
중국 샤오미의 출하량도 2.5% 증가에 그쳤고, 중국 오포는 6.8% 줄어들었는데, 애플은 출하량 증가로 1분기 점유율도 17.5%에서 19.0%로 늘리며 1위 삼성과 격차를 좁혔습니다.
출하량은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늘어났는데, 이들 지역 또한 가격 상승과 공급 차질을 우려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수출품에 최대 145%까지의 관세를 부과했다가 스마트폰 등 전자 제품에 대해서는 상호 관세 적용을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반도체를 포함해 일부 제품에 대해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어서 스마트폰도 관세가 완전히 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폰 출하량 증가에 힘입어 1분기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3억490만 대로 1년 전 3억 30만대보다 1.5% 늘었습니다.
뉴욕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21% 오른 202.52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애플 주가가 200달러 선을 회복한 것은 지난 3일(종가 203.19달러) 이후 7거래일만이며, 시가 총액도 3조 달러 선을 탈환했습니다.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등을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지난 8일에는 172.42달러까지 급락하기도 했습니다.
주가는 지난 11일에는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에 상호관세를 적용하지 않기로 하면서 상승했지만, 장 초반 7%까지 올랐던 것에 비해서는 상승 폭이 줄어들었습니다.
엔비디아(0.20%↓)와 메타(2.22%↓), 아마존(1.49%↓), 마이크로 소프트(0.16%↓) 등 주요 대형 기술주 상당수는 하락 마감했고, 테슬라(0.02%↑)는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시장 조사 기관 IDC는 애플이 올해 1∼3월 5,790만 대의 아이폰을 출하해 지난해 1분기 5,260만 대보다 10%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IDC는 이런 출하량 증가가 갑작스러운 수요 증가에 기인한 것은 아니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에 대비해 재고를 비축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애플을 포함해 미국의 여러 소비자 기술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조치에 대비해 수개월 동안 미국 내 유통 채널에 재고를 쌓아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DC는 "공급 급증은 비용 상승과 공급망 혼란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실제 소비자 수요를 기반으로 한 예상치보다 1분기 출하량이 부풀려졌다"고 분석했습니다.
1분기 6,060만 대를 출하해 점유율 1위(19.9%)를 차지한 삼성전자가 지난해 1분기보다 출하량이 0.6%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애플은 출하량을 대폭 늘린 셈입니다.
중국 샤오미의 출하량도 2.5% 증가에 그쳤고, 중국 오포는 6.8% 줄어들었는데, 애플은 출하량 증가로 1분기 점유율도 17.5%에서 19.0%로 늘리며 1위 삼성과 격차를 좁혔습니다.
출하량은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늘어났는데, 이들 지역 또한 가격 상승과 공급 차질을 우려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수출품에 최대 145%까지의 관세를 부과했다가 스마트폰 등 전자 제품에 대해서는 상호 관세 적용을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반도체를 포함해 일부 제품에 대해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어서 스마트폰도 관세가 완전히 면제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폰 출하량 증가에 힘입어 1분기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3억490만 대로 1년 전 3억 30만대보다 1.5% 늘었습니다.
뉴욕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21% 오른 202.52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애플 주가가 200달러 선을 회복한 것은 지난 3일(종가 203.19달러) 이후 7거래일만이며, 시가 총액도 3조 달러 선을 탈환했습니다.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등을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지난 8일에는 172.42달러까지 급락하기도 했습니다.
주가는 지난 11일에는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에 상호관세를 적용하지 않기로 하면서 상승했지만, 장 초반 7%까지 올랐던 것에 비해서는 상승 폭이 줄어들었습니다.
엔비디아(0.20%↓)와 메타(2.22%↓), 아마존(1.49%↓), 마이크로 소프트(0.16%↓) 등 주요 대형 기술주 상당수는 하락 마감했고, 테슬라(0.02%↑)는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