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화당 '부자증세' 만지작..."국가부채 문제 직시해야"

미 공화당 '부자증세' 만지작..."국가부채 문제 직시해야"

2025.04.15. 오전 11:2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천문학적인 규모의 감세를 추진하는 미국 공화당이 다른 한편에서 '부자증세' 카드를 검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현지 시간 14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이 고려 중인 세제 개편안 중에는 부유층의 세금을 늘리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소득세 최고구간의 한계세율을 현재 37%에서 39.6%로 복원하겠다는 방안입니다.

독신 기준으로 연소득 60만9천 달러(약 8억7천만 원)를 초과하는 고소득자에게 적용되는 한계세율은 당초 39.6%였지만, 지난 2017년 트럼프 1기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 때 37%로 낮아졌습니다.

다만 이런 고소득자 한계세율은 올해 말까지만 유효해, 의회가 별도로 조처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감세 이전의 세율로 복원됩니다.

싱크탱크 세금정책센터(TPC)에 따르면 소득세 최고구간의 한계세율이 39.6%로 돌아갈 경우 재정을 3천660억 달러(약 521조4천억 원)가량 늘릴 수 있습니다.

2017년 감세 조처를 유지하는데 약 4조 달러(약 5천698조8천억 원)가 소요되는 상황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소득세 최고구간의 한계세율 복원은 재정적으로 적지 않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또한 소득세 최고구간의 한계세율 복원은 야당의 '부자 감세' 비판을 피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공화당 내에서는 한계세율 복원과 함께 새로운 소득 구간을 신설해 연 소득 100만 달러(약 14억2천만 원) 이상 초고소득자에 대해 더 높은 세율을 부과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작은 정부와 감세를 추구한 공화당이 부자증세를 고려하는 것은 재정적자에 대한 우려 때문입니다.

공화당 빌 캐시디(루이지애나) 상원의원은 한계세율 복원 문제에 대해 "엄청난 국가 부채 문제를 직시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감세를 추진하고 있지만, 재정적으로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공화당 내 일각에선 부유층보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층인 저소득 노동 계층에 감세 혜택을 줘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조시 홀리(공화·미주리) 상원의원은 "노동자 계층을 위한 감세가 필요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을 위해 무엇이라도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