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북한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돕기 위해 20개월간 선박을 통해 수백만 발의 포탄을 공급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로이터 통신이 영국에 기반을 둔 안보 관련 연구기관인 오픈소스센터, OSC와 협력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북한이 생산한 포탄 수백만 발이 2023년 9월부터 최근까지 선박과 기차를 이용한 대규모 수송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장의 최전선으로 이동했습니다.
로이터와 OSC는 러시아 국적 선박 4척이 이 기간 북한 라진항을 64차례 드나들며 컨테이너 만6천여 개를 수송한 기록을 추적해 북한이 러시아로 보낸 포탄 규모가 수백만 발 수준임을 확인했습니다.
선박들은 라진항에서 포탄을 싣고 러시아 보스토치니항과 두나이항으로 이동했고, 포탄은 기차에 실려 우크라이나 전선 탄약고로 보내졌습니다.
우크라이나군 정보 당국자들은 북한이 러시아가 전선에서 필요로 하는 탄약의 절반을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고, 한 군사 전문가는 북한의 기여도가 70%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로이터는 이 같은 분석이 자체 취재와 부합한다면서 러시아 포대는 북한 탄약에 전적으로 의존한다고 전했습니다.
휴 그리피스 전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 조정관은 북한의 기여가 전략적으로 중요했다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원이 없었다면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을 수행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로이터 통신이 영국에 기반을 둔 안보 관련 연구기관인 오픈소스센터, OSC와 협력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북한이 생산한 포탄 수백만 발이 2023년 9월부터 최근까지 선박과 기차를 이용한 대규모 수송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장의 최전선으로 이동했습니다.
로이터와 OSC는 러시아 국적 선박 4척이 이 기간 북한 라진항을 64차례 드나들며 컨테이너 만6천여 개를 수송한 기록을 추적해 북한이 러시아로 보낸 포탄 규모가 수백만 발 수준임을 확인했습니다.
선박들은 라진항에서 포탄을 싣고 러시아 보스토치니항과 두나이항으로 이동했고, 포탄은 기차에 실려 우크라이나 전선 탄약고로 보내졌습니다.
우크라이나군 정보 당국자들은 북한이 러시아가 전선에서 필요로 하는 탄약의 절반을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고, 한 군사 전문가는 북한의 기여도가 70%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로이터는 이 같은 분석이 자체 취재와 부합한다면서 러시아 포대는 북한 탄약에 전적으로 의존한다고 전했습니다.
휴 그리피스 전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 조정관은 북한의 기여가 전략적으로 중요했다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원이 없었다면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을 수행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