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고 동시다발 협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중국을 제외한 14개국과의 협상에서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명확성은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야후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 90일 안에 공식적인 법적 문서를 완전히 마무리할 것 같진 않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또 "우리는 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며 14개 최대 무역 상대국을 위한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14개 주요 상대국이 어디인지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습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국과 영국, 호주, 인도, 일본 등이 최우선 협상 대상에 올라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또 중국과의 협상이 구체화하지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145%의 관세율이 지속 가능하다고 보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미국 국채 가격의 급락 배경과 관련해선 중국이 미국 국채를 무기화할 유인이 작다면서 "부부싸움을 하다 집을 태워버릴 수 있지만 그건 나에게 별 도움이 안 된다"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중국이 미국 국채를 투매할 경우 대신 위안화를 사야 하는 만큼 위안화 강세 요인인데 중국 당국은 위안화 약세 정책을 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베센트 장관은 야후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 90일 안에 공식적인 법적 문서를 완전히 마무리할 것 같진 않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또 "우리는 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며 14개 최대 무역 상대국을 위한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14개 주요 상대국이 어디인지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습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은 한국과 영국, 호주, 인도, 일본 등이 최우선 협상 대상에 올라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베센트 장관은 또 중국과의 협상이 구체화하지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145%의 관세율이 지속 가능하다고 보는 사람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미국 국채 가격의 급락 배경과 관련해선 중국이 미국 국채를 무기화할 유인이 작다면서 "부부싸움을 하다 집을 태워버릴 수 있지만 그건 나에게 별 도움이 안 된다"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중국이 미국 국채를 투매할 경우 대신 위안화를 사야 하는 만큼 위안화 강세 요인인데 중국 당국은 위안화 약세 정책을 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