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미국 의회가 함께 중국 인공지능(AI) 업체 딥시크에 대한 제재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미국 하원 미중 전략 경쟁 특별위원회는 딥시크 조사 보고서에서 딥시크가 미국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profound threat)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딥시크는 AI 챗봇으로 보이지만, 중국으로 데이터를 유출시키고 이용자의 보안 취약점을 만들어내며, 중국 법에 따라 정보를 검열하고 조작하는 모델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모델이 중국으로 수출이 금지된 미국 반도체 칩을 기반으로 미국 기술을 훔쳐 이용하며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는 점도 문제가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보고서는 딥시크와 중국 정부 간의 연결 관계가 중대하다면서 딥시크 설립자 량원펑이 중국 정부와 연계된 하드웨어 유통 업체, 전략 연구소와 관련돼 있다고 봤습니다.
또 딥시크가 수집한 광범위한 이용자 데이터를 "중국 정부가 소유한 통신 업체인 차이나 모바일과 연결된 백 엔드 인프라를 통해 전송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데이터 전송 범위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차이나 모바일 인프라와 통합된 딥시크는 미국인 개인 정보에 대한 잠재적인 접근 가능성이 심각하게 우려스럽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제기한 의혹을 인용해 딥시크가 오픈AI의 기존 기술을 불법적으로 도용했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위원회는 중국 AI 모델의 위험성에 대처하기 위해 AI 칩 수출 통제를 확대하고 싱가포르처럼 중국으로 빠져나갈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의 수출을 면밀히 조사할 것 등을 미국 정부에 권고했습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딥시크의 미국 기술 구매를 막기 위한 징벌 조치를 저울질하고 있으며, 미국인들의 딥시크 접근 차단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또 하원 미중 전략 경쟁 특별위원회가 엔비디아의 아시아 지역 칩 판매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위원회는 엔비디아가 규정을 위반해 딥시크에 AI 기술을 고의로 제공했는지 평가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원 위원회는 소환 조사 권한을 갖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2주 이내에 아시아 11개국 내 모든 고객의 세부 정보에 대한 답변을 제출해야 한다고 위원회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하원 미중 전략 경쟁 특별위원회는 딥시크 조사 보고서에서 딥시크가 미국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profound threat)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딥시크는 AI 챗봇으로 보이지만, 중국으로 데이터를 유출시키고 이용자의 보안 취약점을 만들어내며, 중국 법에 따라 정보를 검열하고 조작하는 모델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모델이 중국으로 수출이 금지된 미국 반도체 칩을 기반으로 미국 기술을 훔쳐 이용하며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는 점도 문제가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보고서는 딥시크와 중국 정부 간의 연결 관계가 중대하다면서 딥시크 설립자 량원펑이 중국 정부와 연계된 하드웨어 유통 업체, 전략 연구소와 관련돼 있다고 봤습니다.
또 딥시크가 수집한 광범위한 이용자 데이터를 "중국 정부가 소유한 통신 업체인 차이나 모바일과 연결된 백 엔드 인프라를 통해 전송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데이터 전송 범위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차이나 모바일 인프라와 통합된 딥시크는 미국인 개인 정보에 대한 잠재적인 접근 가능성이 심각하게 우려스럽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제기한 의혹을 인용해 딥시크가 오픈AI의 기존 기술을 불법적으로 도용했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위원회는 중국 AI 모델의 위험성에 대처하기 위해 AI 칩 수출 통제를 확대하고 싱가포르처럼 중국으로 빠져나갈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의 수출을 면밀히 조사할 것 등을 미국 정부에 권고했습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딥시크의 미국 기술 구매를 막기 위한 징벌 조치를 저울질하고 있으며, 미국인들의 딥시크 접근 차단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또 하원 미중 전략 경쟁 특별위원회가 엔비디아의 아시아 지역 칩 판매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위원회는 엔비디아가 규정을 위반해 딥시크에 AI 기술을 고의로 제공했는지 평가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원 위원회는 소환 조사 권한을 갖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2주 이내에 아시아 11개국 내 모든 고객의 세부 정보에 대한 답변을 제출해야 한다고 위원회 관계자는 전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