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중국남방항공이 도입한 '초박형 좌석' / 대만 미러 미디어 보도화면 캡처
AD
중국의 한 항공사가 최근 도입한 '초박형 좌석'을 두고 승객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17일 타이완 미러 미디어 등에 따르면, 중국 남방항공은 최근 기존 항공기 좌석보다 두께를 절반 가까이 줄인 '초박형 좌석'을 일부 항공기에 설치했다.
초박형 좌석은 가볍고 얇은 재질로 제작되어 항공기 연료 소비와 운영비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 남방항공 측의 설명이다. 항공사 측은 이 좌석을 통해 기내 좌석 수를 14~28개 추가할 수 있으며, 최대 연간 3억 위안, 우리 돈 약 583억 원의 추가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항공사는 해당 좌석이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았으며, 여러 충격 시험도 통과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실제 좌석을 이용한 승객들 사이에서는 불편함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한 승객은 "좌석 등받이가 너무 얇아 등과 허리가 아팠다"며 "장거리 비행은 고문과 다름없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승객은 "항공사가 승객의 편안함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돈만 벌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앞뒤 좌석 간격이 더 넓어졌다", "단거리 비행은 큰 불편함이 없었다" 등의 의견도 있다.
전문가들은 좌석의 '안전성' 문제를 특히 우려하고 있다.
일본의 전직 조종사 출신 항공 평론가 스기에 히로시는 "비행기가 난기류를 만나거나 착륙할 때 충격이 클 경우, 초박형 좌석이 이를 제대로 흡수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충격 흡수력이 부족하면 승객의 머리, 등, 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남방항공 측은 "초박형 좌석은 인체공학적 설계로 제작돼 승객의 체형에 잘 맞고, 좌석 간 간격을 넓혀 공간감을 확보했다"며 "안전성과 편안함을 모두 고려한 설계"라고 해명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7일 타이완 미러 미디어 등에 따르면, 중국 남방항공은 최근 기존 항공기 좌석보다 두께를 절반 가까이 줄인 '초박형 좌석'을 일부 항공기에 설치했다.
초박형 좌석은 가볍고 얇은 재질로 제작되어 항공기 연료 소비와 운영비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 남방항공 측의 설명이다. 항공사 측은 이 좌석을 통해 기내 좌석 수를 14~28개 추가할 수 있으며, 최대 연간 3억 위안, 우리 돈 약 583억 원의 추가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항공사는 해당 좌석이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았으며, 여러 충격 시험도 통과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실제 좌석을 이용한 승객들 사이에서는 불편함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한 승객은 "좌석 등받이가 너무 얇아 등과 허리가 아팠다"며 "장거리 비행은 고문과 다름없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승객은 "항공사가 승객의 편안함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돈만 벌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앞뒤 좌석 간격이 더 넓어졌다", "단거리 비행은 큰 불편함이 없었다" 등의 의견도 있다.
중국남방항공이 도입한 '초박형 좌석' / 대만 미러 미디어 보도화면 캡처
전문가들은 좌석의 '안전성' 문제를 특히 우려하고 있다.
일본의 전직 조종사 출신 항공 평론가 스기에 히로시는 "비행기가 난기류를 만나거나 착륙할 때 충격이 클 경우, 초박형 좌석이 이를 제대로 흡수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충격 흡수력이 부족하면 승객의 머리, 등, 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남방항공 측은 "초박형 좌석은 인체공학적 설계로 제작돼 승객의 체형에 잘 맞고, 좌석 간 간격을 넓혀 공간감을 확보했다"며 "안전성과 편안함을 모두 고려한 설계"라고 해명했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