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부정부패 파문에 해외 파견 국가보위성 요원 선발 기준 강화"

"북한, 부정부패 파문에 해외 파견 국가보위성 요원 선발 기준 강화"

2025.04.18. 오후 3:2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북한이 최근 해외 파견 국가보위성 보위원들의 부정부패 의혹이 불거지자 이들을 잇달아 소환하고 파견 직원의 선발과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고 국내 북한 전문매체, 데일리NK가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 내부 고위 소식통은 최근 통화에서 북한 국가보위성 정치국이 지난달 말 '해외 현지 회사 조직 통제 체계 재정비'라는 제목의 방침을 하달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방침은 매주 사상·사업 검토를 의무화하고 보위원들이 서면 보고를 해야 한다는 내용이 골자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소식통은 이 방침이 "보위원들이 뇌물 수수와 같은 부패를 피하고 서로를 면밀히 감시해야 한다는 신호"라며 "한국이 북한의 국제적 평판을 훼손시킬 기회를 줘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는 내부 메시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밖에도 해외 근무 요원을 선발하는 과정도 더 엄격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함경북도와 양강도 출신과 기타 북중 접경 지역 출신은 "이미 적에게 노출됐을 수 있다"는 이유로 제외되고, 해외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사람도 자격이 박탈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해외에 파견을 앞둔 보위원 교육에서도 "근로자들을 부드럽고 친절하게 대하면서 국가의 외화 할당량을 채우도록 독려하고 탈출이나 저항을 막아야 한다"라고 강조하고 있으며 보위원들은 근로자 관리 기법과 인터넷 접속 차단 기술에 대해서도 배우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의 이런 움직임은 최근 해외에 파견됐던 보위원이 북한 노동자들을 학대한 혐의를 받아 급히 소환된 영향으로 보인다고 데일리NK는 추정했습니다.

앞서 이 매체는 북한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부정부패와 해외 파견 노동자의 인권을 침해한 혐의를 받는 러시아 파견 보위원이 북한으로 소환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보위원은 노동자들에게 상납금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러시아에 파견됐던 다른 보위원 두 명도 노동자들에게 뇌물을 요구했다는 의혹이 불거지자 평양으로 소환됐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