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중국 공산당 서열 6위인 부총리가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 공장을 최근 방문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인 딩쉐샹 국무원 부총리는 지난 14∼16일 중국 북서부 산시성을 시찰하면서 시안의 삼성 공장과 중국-유럽화물열차집결센터를 찾았습니다.
중국 최고 지도부인 상무위원이 삼성 시안공장을 찾은 것은 2019년 서열 2위 리커창 당시 총리 이후 6년 만입니다.
딩 부총리는 방문 과정에서 "대외 개방은 중국의 기본적인 국가 정책"이라면서 "보호주의 역류가 거세질수록 우리의 개방 확대 의지는 강해진다"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을 겨냥해 "관세전쟁과 무역전쟁은 인심을 얻지 못하며, 중국은 각국과 협력을 심화해 윈-윈(Win-win)을 실현하기를 원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이 중국 등 세계 무역 상대국들과 관세전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딩 부총리가 산시성 시찰 일정에 삼성을 넣은 것은 우군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됩니다.
딩 부총리는 2022년 최고 지도부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입성 직전까지 중앙판공청 주임 겸 국가주석 판공실 주임을 맡아 중앙에서 시 주석의 비서실장 역할을 했던 '시자쥔'(習家軍·시 주석 측근 그룹) 핵심 멤버로 꼽힙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보도에 따르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인 딩쉐샹 국무원 부총리는 지난 14∼16일 중국 북서부 산시성을 시찰하면서 시안의 삼성 공장과 중국-유럽화물열차집결센터를 찾았습니다.
중국 최고 지도부인 상무위원이 삼성 시안공장을 찾은 것은 2019년 서열 2위 리커창 당시 총리 이후 6년 만입니다.
딩 부총리는 방문 과정에서 "대외 개방은 중국의 기본적인 국가 정책"이라면서 "보호주의 역류가 거세질수록 우리의 개방 확대 의지는 강해진다"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을 겨냥해 "관세전쟁과 무역전쟁은 인심을 얻지 못하며, 중국은 각국과 협력을 심화해 윈-윈(Win-win)을 실현하기를 원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이 중국 등 세계 무역 상대국들과 관세전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딩 부총리가 산시성 시찰 일정에 삼성을 넣은 것은 우군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됩니다.
딩 부총리는 2022년 최고 지도부인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입성 직전까지 중앙판공청 주임 겸 국가주석 판공실 주임을 맡아 중앙에서 시 주석의 비서실장 역할을 했던 '시자쥔'(習家軍·시 주석 측근 그룹) 핵심 멤버로 꼽힙니다.
YTN 박영진 (yj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