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 위험해져 관세 유예?..."트럼프, 금융자산 60%가 채권"

재산 위험해져 관세 유예?..."트럼프, 금융자산 60%가 채권"

2025.04.19. 오후 2:5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국제사회를 상대로 무차별적인 관세 폭탄을 쏟아내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 (현지시간) 돌연 90일간 유예로 입장을 바꾼 건 자신의 재산 가치가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해 기준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재산은 채권투자액이 1억2천5백만 달러, 우리 돈 천780억 원에서 4억4천3백만 달러, 우리 돈 6천310억 원 수준에 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금융 자산이 2억6백만 달러(2천934억 원)에서 6억2천만 달러(약 8천831억 원) 상당인 점을 고려하면 채권 비율이 60%나 됩니다.

반면 주식 투자 비율은 10% 미만에 불과했습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각계의 압박과 주식시장 폭락에도 꿈쩍하지 않다가 채권시장이 충격에 빠지자 움직였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이후 채권 시장의 투매가 멈추고 채권 가격이 다시 올라가자 "지금 채권시장은 아름답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 당일 "지금은 (주식을) 매수하기 좋은 때"라는 글을 올린 뒤 3시간 만에 관세 유예를 발표하면서 측근들이 관세 유예 전에 주식을 매입해 시세차익을 누리도록 한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됐습니다.

이에 대해 백악관 측은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비즈니스 제국에서 물러났고 엄청난 희생을 치렀다"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지 않았다고 반박했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