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 웃고 펩시는 울상...'트럼프 관세'에 콜라 업계도 희비

코카콜라 웃고 펩시는 울상...'트럼프 관세'에 콜라 업계도 희비

2025.04.21. 오전 10:2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불붙인 관세전쟁으로 미국 탄산음료 시장도 큰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콜라 농축액의 대부분을 아일랜드에서 제조하는 펩시코가 10%의 관세를 적용받아 코카콜라에 비해 불리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고 현지시간 20일 보도했습니다.

콜라는 특수시설에서 만든 농축액(원액)을 물과 탄산, 감미료 등과 혼합해 제조합니다.

하지만 농축액 생산지가 회사마다 달라 이번 관세전쟁에서 희비가 갈리게 됐습니다.

펩시콜라 제조사인 펩시코의 경우 50여 년 전부터 아일랜드에서 농축액을 생산해 왔습니다.

낮은 법인세율 때문에 아일랜드를 선택했으나 이제 미국으로 농축액을 들여오게 되면 10% 관세를 부과받게 됐습니다.

펩시코의 다른 제품인 마운틴듀도 마찬가지입니다.

반면 코카콜라의 농축액 생산지는 다양합니다.

아일랜드에서도 생산하지만 이 물량은 전 세계로 수출하는 제품에 들어갑니다.

미국 시장에 들어오는 코카콜라 농축액 대부분은 미국 애틀랜타와 미국령인 푸에르토리코에서 생산합니다.

같은 회사 제품인 스프라이트도 관세 문제에서 더 유리해졌다는 평가입니다.

HSBC의 카를로스 라보이 애널리스트는 "아일랜드는 관세가 부과되기 전까지 오랫동안 세금 혜택을 누려왔다"면서 "아무도 이번 관세전쟁을 예상 못 했고 이 관세가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 불확실하지만 펩시가 지금 불리한 입장에 처한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습니다.

알루미늄 캔에 대한 25% 관세는 코카콜라와 펩시코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코카콜라는 캐나다에서 일부 알루미늄을 수입하고 있으며, 여기에 부과되는 관세로 콜라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고 제임스 퀸시 코카콜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월 밝혔습니다.

코카콜라는 플라스틱병 포장을 늘리거나 미국에서 알루미늄 캔을 조달해 충격을 완화한다는 방침입니다.

펩시코의 경우 미국 시장 점유율이 지난 20년 동안 하락해 왔습니다.

지난해에는 닥터 페퍼에 밀려 3위로 떨어졌습니다.

펩시코는 지난 수년간 식품과 에너지 음료에 집중해 오다가 최근에 다시 탄산음료 부흥을 노리고 있으나 관세라는 복병을 만나게 됐습니다.

WSJ은 청바지나 치약 등 다른 제품도 이번 관세전쟁에서 제품 원산지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