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프란치스코 교황이 현지 시간으로 21일 아침 7시 반, 향년 88살로 선종했습니다.
교황은 최근 폐렴으로 입원했다가 회복해 활동을 재개했지만, 다시 병세가 악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각국 정상들의 애도와 추모 메시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제부 연결합니다
홍주예 기자
교황청 발표 소식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교황청 궁무처장인 캐빈 패럴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현지 시간 21일 아침 7시 35분 선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패럴 추기경은 교황이 성부의 집으로 돌아갔다며, 교황은 전 생애를 주님과 교회를 위한 봉사에 헌신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프란치스코 교황은 신앙과 용기, 보편적 사랑을 가지고 복음의 가치를 살아가라고 가르쳤다"며 "특히 가난한 이들과 소외된 이들을 지지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앵커]
교황은 최근 폐렴으로 입원했다가 회복해 활동을 재개했는데, 병세가 다시 악화했다고 봐야겠네요.
[기자]
앞서 교황은 지난 2월 호흡기 질환으로 로마 제멜리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습니다.
38일 입원 기간 몇 차례 고비를 맞기도 했지만, 이후 병세가 눈에 띄게 호전돼 지난달 23일 퇴원한 뒤 바티칸으로 돌아왔습니다.
의료진이 최소 6주는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권고했지만, 교황은 지난 6일 성 베드로 광장에 모습을 드러낸 것을 시작으로 공개 행보를 이어갔습니다.
부활절을 앞두고는 이탈리아 로마 시내의 교도소를 방문하기도 했습니다.
또, 20일 일요일 부활절 대축일엔 이탈리아를 찾은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비공개 회동했고,
이어 성 베드로 광장의 신자들에게 부활절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지만, 하루 만에 갑작스레 선종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앵커]
각국의 애도 메시지도 나오고 있죠
[기자]
먼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교황은 겸손함과 가난한 이들을 향한 순수한 사랑으로 가톨릭교회를 넘어 수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줬다"며 애도를 표했습니다.
중동의 앙숙인 이스라엘과 이란도 교황의 선종 소식 앞에선 한목소리로 애도했습니다.
이츠하크 헤르조그 이스라엘 대통령은 "교황은 가난한 사람들을 돕고 어지러운 세상에 평화를 촉구하는 데 평생을 바친 인물"이라고 칭송했고,
에스마일 바가이 이란 외무부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에서 "전 세계 모든 기독교인에게 애도를 표한다"고 말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크렘린궁이 SNS를 통해 발표한 메시지에서 "교황은 기독교 신앙의 헌신적인 봉사자로 국제적인 존경을 받았다"고 썼습니다.
이런 가운데 집권 1기 때부터 이주민과 기후변화 등 각종 현안을 놓고 교황과 대립해 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애도 메시지는 상대적으로 짧았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밴스 부통령이 각각 교황과 만나는 사진을 SNS에 올리고 "프란치스코 교황의 평화로운 안식을 빈다"는 한 마디를 적었습니다.
이제 교황의 장례 절차에도 관심이 쏠리는데요,
프란치스코 교황이 생전 "품위 있으면서도 모든 그리스도인처럼 간소화된 예식을 원한다"고 여러 차례 밝힌 만큼, 간소하게 치러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프란치스코 교황이 현지 시간으로 21일 아침 7시 반, 향년 88살로 선종했습니다.
교황은 최근 폐렴으로 입원했다가 회복해 활동을 재개했지만, 다시 병세가 악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각국 정상들의 애도와 추모 메시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제부 연결합니다
홍주예 기자
교황청 발표 소식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교황청 궁무처장인 캐빈 패럴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현지 시간 21일 아침 7시 35분 선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패럴 추기경은 교황이 성부의 집으로 돌아갔다며, 교황은 전 생애를 주님과 교회를 위한 봉사에 헌신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프란치스코 교황은 신앙과 용기, 보편적 사랑을 가지고 복음의 가치를 살아가라고 가르쳤다"며 "특히 가난한 이들과 소외된 이들을 지지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앵커]
교황은 최근 폐렴으로 입원했다가 회복해 활동을 재개했는데, 병세가 다시 악화했다고 봐야겠네요.
[기자]
앞서 교황은 지난 2월 호흡기 질환으로 로마 제멜리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습니다.
38일 입원 기간 몇 차례 고비를 맞기도 했지만, 이후 병세가 눈에 띄게 호전돼 지난달 23일 퇴원한 뒤 바티칸으로 돌아왔습니다.
의료진이 최소 6주는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권고했지만, 교황은 지난 6일 성 베드로 광장에 모습을 드러낸 것을 시작으로 공개 행보를 이어갔습니다.
부활절을 앞두고는 이탈리아 로마 시내의 교도소를 방문하기도 했습니다.
또, 20일 일요일 부활절 대축일엔 이탈리아를 찾은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비공개 회동했고,
이어 성 베드로 광장의 신자들에게 부활절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지만, 하루 만에 갑작스레 선종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앵커]
각국의 애도 메시지도 나오고 있죠
[기자]
먼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교황은 겸손함과 가난한 이들을 향한 순수한 사랑으로 가톨릭교회를 넘어 수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줬다"며 애도를 표했습니다.
중동의 앙숙인 이스라엘과 이란도 교황의 선종 소식 앞에선 한목소리로 애도했습니다.
이츠하크 헤르조그 이스라엘 대통령은 "교황은 가난한 사람들을 돕고 어지러운 세상에 평화를 촉구하는 데 평생을 바친 인물"이라고 칭송했고,
에스마일 바가이 이란 외무부 대변인도 정례 브리핑에서 "전 세계 모든 기독교인에게 애도를 표한다"고 말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크렘린궁이 SNS를 통해 발표한 메시지에서 "교황은 기독교 신앙의 헌신적인 봉사자로 국제적인 존경을 받았다"고 썼습니다.
이런 가운데 집권 1기 때부터 이주민과 기후변화 등 각종 현안을 놓고 교황과 대립해 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애도 메시지는 상대적으로 짧았습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밴스 부통령이 각각 교황과 만나는 사진을 SNS에 올리고 "프란치스코 교황의 평화로운 안식을 빈다"는 한 마디를 적었습니다.
이제 교황의 장례 절차에도 관심이 쏠리는데요,
프란치스코 교황이 생전 "품위 있으면서도 모든 그리스도인처럼 간소화된 예식을 원한다"고 여러 차례 밝힌 만큼, 간소하게 치러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