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폐렴에서 회복 중이던 프란치스코 교황이 향년 88세로 선종하면서 전 세계가 슬픔에 빠졌습니다.
교황청은 입관식 직후 뇌졸중과 그에 따른 심부전이 사인이라고 공식 발표하고, 사전에 작성된 교황의 유언장도 공개했습니다.
바티칸 현지에 있는 YTN 유럽 특파원 연결합니다. 조수현 특파원!
교황청이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인을 공식 발표했다고요?
[기자]
네, 프란치스코 교황의 직접 사인은 뇌졸중과 그에 따른 심부전이라고 교황청이 공식 발표했습니다.
교황청은 교황이 뇌졸중으로 혼수 상태에 빠지고 회복 불가능한 심부전을 일으켜 사망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사망진단서에는 교황이 폐렴 외에 고혈압과 다발성 기관지 확장증, 당뇨병을 앓았다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현지 시간 21일 아침 7시 35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21살 때인 1957년 늑막염으로 오른쪽 폐 일부를 잘라내는 등 호흡기 질환을 평생 앓았습니다.
또, 지난 2월 14일부터 38일간 양쪽 폐에 염증을 앓아 치료받은 뒤 지난달 23일 퇴원해 회복 중이었습니다.
[앵커]
교황의 선종 당일 저녁 입관식도 엄수됐죠?
[기자]
교황의 입관식은 바티칸 내 교황의 거처인 산타 마르타 집에서 거행된 것으로 보입니다.
페렐 추기경이 교황 장례 예식 문서에 따라 선종 확인과 시신을 관에 안치하는 의식을 주재했습니다.
교황이 서거함에 따라 9일간 애도 기간이 이어집니다.
교황청은 유해가 이르면 23일 성베드로 대성당으로 옮겨져 일반에 공개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교황이 남긴 유언도 공개됐습니다.
교황청은 2022년 6월 29일 작성된 유언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바티칸 밖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공개했습니다.
그러면서, 무덤에 특별한 장식을 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지만 자신의 교황명을 라틴어로 새겨주기를 원했다고 교황청은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바티칸에서 YTN 조수현입니다.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폐렴에서 회복 중이던 프란치스코 교황이 향년 88세로 선종하면서 전 세계가 슬픔에 빠졌습니다.
교황청은 입관식 직후 뇌졸중과 그에 따른 심부전이 사인이라고 공식 발표하고, 사전에 작성된 교황의 유언장도 공개했습니다.
바티칸 현지에 있는 YTN 유럽 특파원 연결합니다. 조수현 특파원!
교황청이 프란치스코 교황의 사인을 공식 발표했다고요?
[기자]
네, 프란치스코 교황의 직접 사인은 뇌졸중과 그에 따른 심부전이라고 교황청이 공식 발표했습니다.
교황청은 교황이 뇌졸중으로 혼수 상태에 빠지고 회복 불가능한 심부전을 일으켜 사망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사망진단서에는 교황이 폐렴 외에 고혈압과 다발성 기관지 확장증, 당뇨병을 앓았다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현지 시간 21일 아침 7시 35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21살 때인 1957년 늑막염으로 오른쪽 폐 일부를 잘라내는 등 호흡기 질환을 평생 앓았습니다.
또, 지난 2월 14일부터 38일간 양쪽 폐에 염증을 앓아 치료받은 뒤 지난달 23일 퇴원해 회복 중이었습니다.
[앵커]
교황의 선종 당일 저녁 입관식도 엄수됐죠?
[기자]
교황의 입관식은 바티칸 내 교황의 거처인 산타 마르타 집에서 거행된 것으로 보입니다.
페렐 추기경이 교황 장례 예식 문서에 따라 선종 확인과 시신을 관에 안치하는 의식을 주재했습니다.
교황이 서거함에 따라 9일간 애도 기간이 이어집니다.
교황청은 유해가 이르면 23일 성베드로 대성당으로 옮겨져 일반에 공개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교황이 남긴 유언도 공개됐습니다.
교황청은 2022년 6월 29일 작성된 유언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바티칸 밖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지하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공개했습니다.
그러면서, 무덤에 특별한 장식을 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지만 자신의 교황명을 라틴어로 새겨주기를 원했다고 교황청은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바티칸에서 YTN 조수현입니다.
YTN 조수현 (sj1029@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