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법무부 "크롬 매각이 최선"...구글 "중국에 맞서려면 분할 안 돼"

미 법무부 "크롬 매각이 최선"...구글 "중국에 맞서려면 분할 안 돼"

2025.04.22. 오전 07:1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세계 최대 검색 엔진 업체 구글의 인터넷 검색 시장 불법 독점을 해소하기 위한 재판이 개시됐습니다.

이번 재판은 지난해 8월 미국 법원이 구글의 인터넷 검색 시장 지배력을 '불법 독점'이라고 판결한 데 따른 것으로, 구글의 검색 시장 반독점 재판 2라운드입니다.

워싱턴DC 연방 법원에서 열린 첫 재판에서 소송을 제기했던 미국 법무부는 구글의 불법 독점 해소를 위해 크롬 브라우저 매각이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미국 법무부는 "인터넷 검색 시장에서 구글의 독점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크롬을 포함한 구글 분할"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시장의 경쟁을 회복시키기 위해 구글이 조처하도록 법원이 명령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크롬은 검색으로 가는 주요 관문"이라며 "크롬 매각 시 경쟁사들이 막대한 양의 검색 질문에 접근해 구글과 경쟁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구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검색 시장의 지배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며 "이미 대표 AI 제품인 '제미나이(Gemini)'를 중심으로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법원의 구제 조치는 미래를 내다봐야 하며, 다가오는 위협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구글은 과거 검색 시장에서 사용했던 전략을 제미나이에도 똑같이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2021년 애플과 삼성 등 스마트폰 제조사 등에 263억 달러를 지불한 것으로 알려진 구글이 브라우저와 스마트폰 제조사에 검색 엔진 우선 배치 대가 지급을 금지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래도 경쟁이 회복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스마트폰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 매각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미국 법무부 측은 "지금이야말로 법원이 구글을 포함한 모든 독점 기업에 반독점법 위반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명확히 알릴 때"라고 역설했습니다.

구글 측은 법무부의 요청을 "극단적"이라고 평가하며, 법원의 해결책은 기본 검색 엔진 계약의 조건을 제한하는 수준에서 그쳐야 한다고 항변했습니다.

아울러 구글이 AI를 이용해 검색 시장 지배력을 확장하려고 한다는 법무부의 주장에 대해 "소송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라고 맞받았습니다.

특히 구글은 중국과 AI 분야의 글로벌 패권 경쟁을 언급하며 경쟁자인 중국에 맞서고 국가 안보를 수호하기 위해 완전한 형태의 구글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구글 규제 담당 부사장인 리앤 멀홀랜드는 블로그 게시물에서 떠오르는 AI 경쟁자로 중국의 AI 스타트업인 딥시크를 지목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 법무부의 크롬 매각 등 분할 요구가 "중요한 시점에 미국의 혁신을 저해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차세대 기술 리더십을 놓고 중국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구글은 과학 기술 혁신을 이루는 미국 기업들의 최전선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재판에서 미국 법무부의 전례 없는 제안이 미국 소비자, 경제, 기술 리더십에 해를 끼칠 것이라는 점을 입증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특히 미국 법무부의 제안 중 검색 데이터의 외부 개방은 "사이버 보안 및 국가 안보 위험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기기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구글의 경쟁자인 퍼플렉시티는 블로그에 "독점 해결 구제책은 분할이 아니라 소비자들이 더 많은 선택권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라는 내용의 게시물을 올렸습니다.

이어 "휴대전화 제조 업체들이 고객에게 다양한 검색 옵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소비자는 게재 순위를 위해 가장 많은 돈을 지불하는 제품이 아닌 최고의 제품을 받을 자격이 있다"며 "이것이 소비자 선택이 승자를 결정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구제책"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번 재판은 향후 3주간 공방이 진행되며, 법원은 오는 8월까지 법무부가 제안한 내용 등을 중심으로 인터넷 검색 시장에서의 불법 독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이번 재판 결과에 따라 전 세계 검색 시장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는 구글의 지배력이 무너지며 검색 시장이 재편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구글은 이번 판결이 확정되는 대로 항소한다는 계획입니다.

앞서 지난 17일 온라인 광고 관련 기술 시장 반독점 소송에서도 구글은 광고 서버와 거래소 분야에서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는 판결로 사업 일부 매각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