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한국인이 재택근무하는 날이 일주일에 0.5일에 그쳐 전 세계 40개 나라 가운데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40개국 대졸자 만6천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현황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영국 시사지 이코노미스트가 현지시각 21일 보도했습니다.
응답자들은 일주일에 평균 1.3일 재택근무를 해 2023년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나라별로 보면 한국인이 약 0.5일로 나타나 재택근무를 가장 적게 했고, 캐나다가 1.9일로 재택근무를 가장 많이 했으며, 영국 1.8일, 미국 1.6일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0.7일, 중국이 0.6일로 한국보다 많았습니다.
이처럼 나라에 따라 재택근무 비중이 격차를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문화적 차이라고 연구진은 꼽았는데, 사회 분위기가 개인주의적인지, 집단주의적인지에 따라 재택근무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달라졌다고 분석했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40개국 대졸자 만6천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현황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영국 시사지 이코노미스트가 현지시각 21일 보도했습니다.
응답자들은 일주일에 평균 1.3일 재택근무를 해 2023년 같은 기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나라별로 보면 한국인이 약 0.5일로 나타나 재택근무를 가장 적게 했고, 캐나다가 1.9일로 재택근무를 가장 많이 했으며, 영국 1.8일, 미국 1.6일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0.7일, 중국이 0.6일로 한국보다 많았습니다.
이처럼 나라에 따라 재택근무 비중이 격차를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문화적 차이라고 연구진은 꼽았는데, 사회 분위기가 개인주의적인지, 집단주의적인지에 따라 재택근무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달라졌다고 분석했습니다.
YTN 한상옥 (hans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