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챗GPT 책임자 "구글 크롬 매각 명령되면 인수 의향"

오픈AI 챗GPT 책임자 "구글 크롬 매각 명령되면 인수 의향"

2025.04.23. 오전 08:1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챗GPT 책임자는 미국 법원이 구글 크롬 브라우저 매각을 명령할 경우 인수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챗GPT 책임자 닉 털리는 워싱턴DC에서 열린 구글 온라인 검색 시장 독점 해소 방안 재판에서 "크롬 브라우저를 인수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또 "우리뿐 아니라 많은 기업이 인수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8월 미국 법원은 구글이 온라인 검색 시장을 불법적으로 독점하고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이에 법무부는 구글의 독점 해소 방안으로 구글 크롬 매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법무부 측 증인으로 출석한 털리 책임자는 증언에서 현재 오픈AI의 챗GPT는 구글 크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챗GPT가 크롬에 통합된다면 더 나은 제품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챗GPT가 크롬에 통합된다면 정말 엄청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며 "인공지능(AI) 중심의 사용자 경험이 어떤 모습인지 사용자에게 직접 체험하게 해줄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오픈AI가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부분 중 하나가 배포"라며 아이폰에 챗GPT를 통합하는 계약은 체결했지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제조사들과는 별다른 진전이 없다고 증언했습니다.

털리는 "오픈AI가 삼성과의 협상에서 큰 진전을 이루지 못한 이유는 구글이 스타트업보다 훨씬 많은 자금을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날 재판에서 미국 법무부는 구글이 자사 AI 모델 제미나이를 삼성 갤럭시폰 등 기기에 탑재하는 대가로 삼성에 "매월 막대한 금액을 지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피터 피츠제럴드 구글 플랫폼·기기 파트너십 부사장은 이를 인정하면서도 삼성 등 스마트폰 제조사가 제미나이 외에 다른 AI 모델도 탑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털리 책임자는 "우리가 노력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계약 조건을 논의하는 단계까지도 가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구글과 같은 대기업들에 의해 시장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깊은 우려가 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털리 책임자는 "매우 강력한 경쟁자들이 소비자와 제품의 접점인 브라우저와 앱스토어를 통제하고 있다"며 "진정한 선택권이 있어야 경쟁이 이뤄지고 사용자는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