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축미 방출해도 일본 소비자들은 "구경도 못해"...수십만 톤 어디로 다 갔을까?

비축미 방출해도 일본 소비자들은 "구경도 못해"...수십만 톤 어디로 다 갔을까?

2025.04.23. 오후 8:5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요즘 쌀값이 치솟고 있는 일본에서는 정부가 비축미까지 방출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체감할 만큼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비축미 입찰에 대형 업체만 참여할 수 있게 제한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김세호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쌀 코너를 둘러보지만, 부쩍 오른 가격에 선뜻 손이 가질 않습니다.

비축미까지 방출됐다고 하는데, 어지간해서는 슈퍼에서 구경조차 어렵습니다.

[소비자 : 정부 비축미가 안 나왔네요. 수십만 톤이 나온다고 들었는데, 이런 슈퍼에는 전혀 없어요. 그래서 대체 어디에 있는지...]

일본 정부의 비축미 방출에도 15주 연속 쌀값은 상승했는데, 입찰에서 유통까지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비축미 입찰 자격으로 1년 동안 쌀 구입 수량이 5천 톤 이상으로,

전국농업협동조합과 같이 도매업체와의 판매 계획 있거나, 계약을 맺은 대형 집하 업체로 정해 놓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전매를 막으려고 도매업자들끼리는 비축미 거래를 못하도록 했는데, 이게 오히려 도매업자들의 비축미 확보를 제한해서 시장에 쌀이 풀리는 속도가 더딥니다.

특히 일반 슈퍼 등 소매점에 도달한 비축미는 전체 0.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리사카 슌스케 / 유통경제연구소 수석 연구원 : 대형 집하 업체와의 거래가 없는 곳에는 쌀이 도달하지 않는데, 30% 정도는 소규모 업체에 전달이 되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비축미 운송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유통이 늦어진 점도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에토 타쿠 / 농림수산상 : 비축미 창고도 토호쿠에 몰려 있는데, 트럭 준비에 어려웠던 부분이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3차 비축미를 방출하면서, 뒤늦게 도매업자 간 비축미 거래도 인정하기로 했습니다

이 같은 대책에도 비축미 유통이 원활해지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쌀가격 상승은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



YTN 김세호 (se-3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