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금 보시는 화면은 우주 관측 망원경인데요, 360도 회전하며 24시간 관측합니다.
지난 2015년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외계행성탐색시스템'인데요,
거대 망원경 3대가 빛의 휘어짐 현상을 이용해 우리 은하 속 외계행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 망원경으로 '슈퍼지구' 형태의 외계행성을 발견했습니다.
토성 너머 지구로부터 1만4천 광년 떨어져 있고, 공전주기는 40년 정도로 추정된다는데요,
지금까지 발견된 공전 주기 1년 이상인 '장주기 슈퍼지구' 가운데 우리 지구와 가장 비슷한 수준의 질량을 가졌다고 합니다.
YTN 김자양 (kimjy020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2015년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외계행성탐색시스템'인데요,
거대 망원경 3대가 빛의 휘어짐 현상을 이용해 우리 은하 속 외계행성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 망원경으로 '슈퍼지구' 형태의 외계행성을 발견했습니다.
토성 너머 지구로부터 1만4천 광년 떨어져 있고, 공전주기는 40년 정도로 추정된다는데요,
지금까지 발견된 공전 주기 1년 이상인 '장주기 슈퍼지구' 가운데 우리 지구와 가장 비슷한 수준의 질량을 가졌다고 합니다.
YTN 김자양 (kimjy020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