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인공지능(AI)의 '대부'로 불리는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가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인류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힌턴 교수는 현지시간 26일 미국 CBS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며, "나중에 자라서 당신을 죽이지 않을 것이라는 걸 확신할 수 없다면, 걱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힌턴 교수는 인공지능이 결과적으로 인류로부터 통제권을 가져갈 위험이 10∼20%의 가능성으로 존재한다며, 사람들은 무엇이 다가오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인공지능학습에 필요한 핵심 기술인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에 선구적인 역할을 한 힌턴 교수는 AI의 위험성에 대해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경고해 온 이른바 두머(doomer·인공지능 파멸론자) 석학입니다.
지난해 노벨물리학상을 받고 한때 구글에서 부사장까지 지냈지만 2023년 구글과 결별한 뒤 AI가 인간을 추월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경고해왔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힌턴 교수는 현지시간 26일 미국 CBS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며, "나중에 자라서 당신을 죽이지 않을 것이라는 걸 확신할 수 없다면, 걱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힌턴 교수는 인공지능이 결과적으로 인류로부터 통제권을 가져갈 위험이 10∼20%의 가능성으로 존재한다며, 사람들은 무엇이 다가오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인공지능학습에 필요한 핵심 기술인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에 선구적인 역할을 한 힌턴 교수는 AI의 위험성에 대해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경고해 온 이른바 두머(doomer·인공지능 파멸론자) 석학입니다.
지난해 노벨물리학상을 받고 한때 구글에서 부사장까지 지냈지만 2023년 구글과 결별한 뒤 AI가 인간을 추월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경고해왔습니다.
YTN 김선중 (kims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