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견고해 보였던 미국의 '금융 패권'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도 되기 전에 흔들리고 있습니다.
증시와 달러, 국채가 동반 추락하면서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가 깨지고 있습니다.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하락세가 주춤하지만 미국 증시는 올해 들어 부진합니다.
S&P500 지수는 10% 넘게 떨어졌습니다.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안전자산인 채권, 그중에서도 가장 안전하다는 미국 국채로 돈이 몰리는 게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글로벌 투자자들은 미국 채권을 팔아치웠습니다.
[게리 슐로스버그 / 웰스파고 투자연구소 : 일부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이탈과 미국 투자자들조차 미국 채권 시장에 투자하기를 꺼리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국 증권에 대한 수요가 감소했음을 의미합니다.]
국채와 함께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달러화도 약세입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한때 기준선 100은 물론 98 아래까지 내려갔습니다.
트럼프 취임 후 달러 가치는 9%나 떨어졌습니다.
[멜리사 브라운 / 심코프 응용 리서치 부문 디렉터 : 이미 미국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을 봤습니다. 그래서 달러가 약세를 보인 것입니다.]
고도의 보호주의 정책으로의 갑작스러운 전환은 시장의 불신을 키웠습니다.
미국 주가와 국채 가격, 달러화 가치가 트리플 약세를 보이자 미국 금융 패권이 흔들리고 있다는 진단이 나옵니다.
[대릴 구피 / 금융시장 분석가 : 예측 불가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전 세계가 미국 달러와 미국 국채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었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투자자들이 미국을 보는 시각이 바뀌고 있는 징후일 수 있습니다.
금값 급등과 엔화와 유로화 강세 등이 미국에서 빠져나온 자금의 이동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미 국채시장 규모가 29조 달러(4경 1천조 원)에 달하고 각국 외환 보유고 60%를 달러가 점하고 있어 대체 시장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국제질서의 변화 속에 전 세계는 미국 금융시장과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대안 모색에 나서고 있습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전주영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견고해 보였던 미국의 '금융 패권'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도 되기 전에 흔들리고 있습니다.
증시와 달러, 국채가 동반 추락하면서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가 깨지고 있습니다.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하락세가 주춤하지만 미국 증시는 올해 들어 부진합니다.
S&P500 지수는 10% 넘게 떨어졌습니다.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안전자산인 채권, 그중에서도 가장 안전하다는 미국 국채로 돈이 몰리는 게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글로벌 투자자들은 미국 채권을 팔아치웠습니다.
[게리 슐로스버그 / 웰스파고 투자연구소 : 일부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이탈과 미국 투자자들조차 미국 채권 시장에 투자하기를 꺼리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국 증권에 대한 수요가 감소했음을 의미합니다.]
국채와 함께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달러화도 약세입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한때 기준선 100은 물론 98 아래까지 내려갔습니다.
트럼프 취임 후 달러 가치는 9%나 떨어졌습니다.
[멜리사 브라운 / 심코프 응용 리서치 부문 디렉터 : 이미 미국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을 봤습니다. 그래서 달러가 약세를 보인 것입니다.]
고도의 보호주의 정책으로의 갑작스러운 전환은 시장의 불신을 키웠습니다.
미국 주가와 국채 가격, 달러화 가치가 트리플 약세를 보이자 미국 금융 패권이 흔들리고 있다는 진단이 나옵니다.
[대릴 구피 / 금융시장 분석가 : 예측 불가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전 세계가 미국 달러와 미국 국채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었습니다.]
이런 분위기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투자자들이 미국을 보는 시각이 바뀌고 있는 징후일 수 있습니다.
금값 급등과 엔화와 유로화 강세 등이 미국에서 빠져나온 자금의 이동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미 국채시장 규모가 29조 달러(4경 1천조 원)에 달하고 각국 외환 보유고 60%를 달러가 점하고 있어 대체 시장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국제질서의 변화 속에 전 세계는 미국 금융시장과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대안 모색에 나서고 있습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전주영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