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YTN
AD
호주 빅토리아주 정부가 야생 코알라 700여 마리를 살처분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25일(현지 시간)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호주 남부 빅토리아주는 부즈빔 국립공원 화재로 먹이를 잃은 코알라들을 안락사 시키기 위해, 헬리콥터에서 저격해 사살하는 작업을 실시했다.
지난 3월 부즈빔 국립공원에서는 화재로 약 2,200헥타르(약 665만 평)에 달하는 면적이 소실됐고, 코알라의 먹이인 유칼립투스 군락지도 대부분 파괴됐다. 이에 주 당국은 코알라들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안락사 조치를 시행했다.
주 당국은 국립공원의 지형이 험난한데다 코알라들이 높고 외딴 곳에 위치해 있는 점 등을 고려해 공중 사살을 진행했다. 이 같은 살처분 방식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빅토리아주 야생동물 보호단체 와일드라이프빅토리아 대표 리사 팔마는 "비극적인 현실은 산불이 야생동물에게 상당한 고통과 죽음을 초래했다는 것"이라며 "심각한 부상을 입은 야생동물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자비로운 행동은 안락사였다"고 말했다.
빅토리아주 생물다양성 책임자인 제임스 토드는 "이 결정은 결코 가볍게 내려지지 않았다"며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방치하거나 고통을 덜어주는 것 뿐이었다"고 옹호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주 정부의 이 같은 조치를 비판하며 공중 사살의 정확성과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비영리단체 코알라 얼라이언스 측은 "코알라를 안락사시키기 전에 혈액 검사를 받고 체중을 측정해야 하며, 이런 방식으로 코알라를 평가해야 한다"며 "헬리콥터에서 코알라의 상태가 좋지 않은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의견을 밝혔다. "고아가 된 어린 코알라 새끼들이 굶어 죽거나 추위에 시달려 죽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또 다른 동물보호단체 '지구의 친구들'은 코알라 구조대원이 해당 지역에 들어가는 것도 허용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20년 동안 코알라를 연구해온 센트럴퀸즐랜드대학의 코알라 생태학자 롤프 슐라글로스는 "공중 사격이 과연 효율적이고 정확한지 의문이 든다"고 비판하며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문제는 코알라 서식지와 토종 식물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5일(현지 시간)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호주 남부 빅토리아주는 부즈빔 국립공원 화재로 먹이를 잃은 코알라들을 안락사 시키기 위해, 헬리콥터에서 저격해 사살하는 작업을 실시했다.
지난 3월 부즈빔 국립공원에서는 화재로 약 2,200헥타르(약 665만 평)에 달하는 면적이 소실됐고, 코알라의 먹이인 유칼립투스 군락지도 대부분 파괴됐다. 이에 주 당국은 코알라들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안락사 조치를 시행했다.
주 당국은 국립공원의 지형이 험난한데다 코알라들이 높고 외딴 곳에 위치해 있는 점 등을 고려해 공중 사살을 진행했다. 이 같은 살처분 방식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전해졌다.
빅토리아주 야생동물 보호단체 와일드라이프빅토리아 대표 리사 팔마는 "비극적인 현실은 산불이 야생동물에게 상당한 고통과 죽음을 초래했다는 것"이라며 "심각한 부상을 입은 야생동물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자비로운 행동은 안락사였다"고 말했다.
빅토리아주 생물다양성 책임자인 제임스 토드는 "이 결정은 결코 가볍게 내려지지 않았다"며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방치하거나 고통을 덜어주는 것 뿐이었다"고 옹호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주 정부의 이 같은 조치를 비판하며 공중 사살의 정확성과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비영리단체 코알라 얼라이언스 측은 "코알라를 안락사시키기 전에 혈액 검사를 받고 체중을 측정해야 하며, 이런 방식으로 코알라를 평가해야 한다"며 "헬리콥터에서 코알라의 상태가 좋지 않은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의견을 밝혔다. "고아가 된 어린 코알라 새끼들이 굶어 죽거나 추위에 시달려 죽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또 다른 동물보호단체 '지구의 친구들'은 코알라 구조대원이 해당 지역에 들어가는 것도 허용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20년 동안 코알라를 연구해온 센트럴퀸즐랜드대학의 코알라 생태학자 롤프 슐라글로스는 "공중 사격이 과연 효율적이고 정확한지 의문이 든다"고 비판하며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문제는 코알라 서식지와 토종 식물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