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주 북한이 공개한 5천 톤급 신형 구축함이 완성되지 않은 채 진수식부터 열린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가 보도했습니다.
민간 위성 서비스 플래닛랩스가 촬영한 위성 사진에 따르면 지난 25일 남포조선소에서 진수기념식이 열린 북한의 신형 구축함은 사흘 뒤인 28일 다시 선박을 건조하고 수리하는 건선거 쪽으로 옮겨졌습니다.
구축함을 옮기기 위해 예인선 두 대도 이용됐는데, 이는 구축함에 자체 추진 기능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고 38노스는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26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진수식 사진과 영상에서도 해당 구축함이 계류장을 벗어나지 않은 채 정박한 모습이었다고 짚었습니다.
38노스에 따르면 북한이 '최현호'로 명명한 이 구축함의 건조 작업은 1년 전인 지난해 5월 시작돼 빠른 속도로 이뤄졌고 3월 말 부유식 건선거로 옮겨졌으며 지난 25일 진수기념식을 위해 예인선으로 옮겨지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당시 열린 진수기념식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석했습니다.
한편 조선중앙통신은 최현호의 첫 무장 시험 사격이 지난 28일과 29일에 진행됐다고 30일 보도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민간 위성 서비스 플래닛랩스가 촬영한 위성 사진에 따르면 지난 25일 남포조선소에서 진수기념식이 열린 북한의 신형 구축함은 사흘 뒤인 28일 다시 선박을 건조하고 수리하는 건선거 쪽으로 옮겨졌습니다.
구축함을 옮기기 위해 예인선 두 대도 이용됐는데, 이는 구축함에 자체 추진 기능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고 38노스는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26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진수식 사진과 영상에서도 해당 구축함이 계류장을 벗어나지 않은 채 정박한 모습이었다고 짚었습니다.
38노스에 따르면 북한이 '최현호'로 명명한 이 구축함의 건조 작업은 1년 전인 지난해 5월 시작돼 빠른 속도로 이뤄졌고 3월 말 부유식 건선거로 옮겨졌으며 지난 25일 진수기념식을 위해 예인선으로 옮겨지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당시 열린 진수기념식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석했습니다.
한편 조선중앙통신은 최현호의 첫 무장 시험 사격이 지난 28일과 29일에 진행됐다고 30일 보도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