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국내 연구진이 손상된 신체 장기에 붙여 회복을 도울 수 있는 이른바 '세포 스티커'제작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피부 재생은 물론 장기나 신경세포 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피부와 달리 심장이나 간, 척수 등 한번 손상되면 재생이 어려운 장기와 신경조직.
기증을 받거나 인공장기를 이식해야 하는데, 세포의 거부반응으로 기존 조직과 동화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손상된 장기에 붙일 수 있는 '세포 스티커'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먼저 원하는 부분에 이온성 고분자를 점처럼 찍으면 세포를 감싸고 있는 단백질이 점들을 서로 연결해 '단백질 그물망'을 만듭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 그물망에 쥐의 심장 세포를 성장시켰더니 심장 세포가 그물망 모양대로 자라 스스로 수축운동을 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또, 쥐 심장 크기의 보형물에 그물망을 붙이는 데에도 성공했습니다.
세포 기능을 유지하면서 어디에나 쉽게 붙일 수 있는 이른바 '세포 스티커'를 만든 겁니다.
[신관우, 서강대 화학과 교수]
"외부에서 단백질 위에 세포를 모두 키워 놓고, 그 세포를 마치 오려서 원하는 부위에 이동시킬 수 있는 스티커 형태로 만들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습니다."
연구진은 세포 스티커가 자신의 세포를 이용해 만들었기 때문에 거부 반응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하버드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세포 스티커가 장기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케빈 키트 파커, 하버드대 교수]
"우리는 신관우 교수팀과 최근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두 대학의 강점을 공유해 새로운 분야를 연구한 겁니다."
연구진은 앞으로 피부재생용 세포 스티커에 대한 실용화 연구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표지 논문으로 실렸습니다.
YTN science 양훼영[hw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내 연구진이 손상된 신체 장기에 붙여 회복을 도울 수 있는 이른바 '세포 스티커'제작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피부 재생은 물론 장기나 신경세포 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피부와 달리 심장이나 간, 척수 등 한번 손상되면 재생이 어려운 장기와 신경조직.
기증을 받거나 인공장기를 이식해야 하는데, 세포의 거부반응으로 기존 조직과 동화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손상된 장기에 붙일 수 있는 '세포 스티커'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먼저 원하는 부분에 이온성 고분자를 점처럼 찍으면 세포를 감싸고 있는 단백질이 점들을 서로 연결해 '단백질 그물망'을 만듭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 그물망에 쥐의 심장 세포를 성장시켰더니 심장 세포가 그물망 모양대로 자라 스스로 수축운동을 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또, 쥐 심장 크기의 보형물에 그물망을 붙이는 데에도 성공했습니다.
세포 기능을 유지하면서 어디에나 쉽게 붙일 수 있는 이른바 '세포 스티커'를 만든 겁니다.
[신관우, 서강대 화학과 교수]
"외부에서 단백질 위에 세포를 모두 키워 놓고, 그 세포를 마치 오려서 원하는 부위에 이동시킬 수 있는 스티커 형태로 만들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습니다."
연구진은 세포 스티커가 자신의 세포를 이용해 만들었기 때문에 거부 반응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하버드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세포 스티커가 장기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케빈 키트 파커, 하버드대 교수]
"우리는 신관우 교수팀과 최근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두 대학의 강점을 공유해 새로운 분야를 연구한 겁니다."
연구진은 앞으로 피부재생용 세포 스티커에 대한 실용화 연구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표지 논문으로 실렸습니다.
YTN science 양훼영[hw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