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알츠하이머 치매는 아직 발병 원리가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뇌 속에 아밀로이드 베타라는 단백질이 쌓여서 생긴다는 게 주된 학설이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16년 동안 '아밀로이드 가설'의 핵심 연구로, 전 세계 알츠하이머 연구 방향을 이끌었던 이 논문이 조작됐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습니다.
양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뇌 속 독성 단백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신경세포에 오랜 시간 과도하게 쌓이면 인지 기능을 떨어뜨려 알츠하이머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른바 '아밀로이드 가설'로, 지난 2006년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실뱅 레스네, 캐런 애쉬 교수팀이 발표한 연구 논문이 핵심 근거가 됐습니다.
이후 이 논문은 2천 번 이상 인용됐고, 미국은 물론 전 세계 알츠하이머 연구 흐름을 이끌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8월, 알츠하이머 치료물질의 안정성과 효능을 조사하던 미국의 젊은 의사 과학자 매튜 슈래그 미 밴더빌트대 교수가 해당 논문의 조작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2006년 논문 속 이미지에서 실제보다 더 많이 발현된 것처럼 조작이 의심되는 부분을 발견했는데,
두 이미지의 상관계수는 0.98로 완전히 같은 이미지인 1에 가까운 수치가 나온 겁니다.
슈래그 교수의 의혹 제기 이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관련 전문가를 모아 6개월 동안 조사했는데, 역시나 해당 논문이 조작됐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학계는 지금까지 확인된 내용만으로도 빠져나가기 힘든 조작 증거들이 나왔다며, 논문 조작에 큰 실망감을 드러냈습니다.
[이창준 / 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장 : (복제 이미지가 있다는 건) 전체를 신뢰 못 하는 거죠. 사실 과학자는 이런 실수를 하나라도 하면 안 되거든요. 황우석 케이스하고 거의 비슷한…(논문 조작은) 한번 하기가 어렵지, 한번 하고 나서는 여러 번 하게 되거든요. 그래서 이거는 정말 비슷한 케이스고, 비슷한 여파가 있을 겁니다.]
논문 저자가 소속된 미네소타 대학과 미 국립보건원은 현재 관련 조사에 나선 상태이며, 네이처 역시 "해당 논문 페이지에 결과를 활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는 경고 문구를 달아둔 상태입니다.
하지만 해당 논문 저자들은 직접적인 답변은 거부하면서도 자신들의 연구결과를 믿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황우석 논문 조작 사건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연구 윤리, 특히 연구 이미지 도용이나 복제에 관해서는 민감한 상황입니다.
이번 논문 조작으로 알츠하이머 정복을 위한 지난 16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될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
YTN 양훼영 (hw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알츠하이머 치매는 아직 발병 원리가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뇌 속에 아밀로이드 베타라는 단백질이 쌓여서 생긴다는 게 주된 학설이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16년 동안 '아밀로이드 가설'의 핵심 연구로, 전 세계 알츠하이머 연구 방향을 이끌었던 이 논문이 조작됐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습니다.
양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뇌 속 독성 단백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신경세포에 오랜 시간 과도하게 쌓이면 인지 기능을 떨어뜨려 알츠하이머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른바 '아밀로이드 가설'로, 지난 2006년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실뱅 레스네, 캐런 애쉬 교수팀이 발표한 연구 논문이 핵심 근거가 됐습니다.
이후 이 논문은 2천 번 이상 인용됐고, 미국은 물론 전 세계 알츠하이머 연구 흐름을 이끌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8월, 알츠하이머 치료물질의 안정성과 효능을 조사하던 미국의 젊은 의사 과학자 매튜 슈래그 미 밴더빌트대 교수가 해당 논문의 조작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2006년 논문 속 이미지에서 실제보다 더 많이 발현된 것처럼 조작이 의심되는 부분을 발견했는데,
두 이미지의 상관계수는 0.98로 완전히 같은 이미지인 1에 가까운 수치가 나온 겁니다.
슈래그 교수의 의혹 제기 이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관련 전문가를 모아 6개월 동안 조사했는데, 역시나 해당 논문이 조작됐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학계는 지금까지 확인된 내용만으로도 빠져나가기 힘든 조작 증거들이 나왔다며, 논문 조작에 큰 실망감을 드러냈습니다.
[이창준 / 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장 : (복제 이미지가 있다는 건) 전체를 신뢰 못 하는 거죠. 사실 과학자는 이런 실수를 하나라도 하면 안 되거든요. 황우석 케이스하고 거의 비슷한…(논문 조작은) 한번 하기가 어렵지, 한번 하고 나서는 여러 번 하게 되거든요. 그래서 이거는 정말 비슷한 케이스고, 비슷한 여파가 있을 겁니다.]
논문 저자가 소속된 미네소타 대학과 미 국립보건원은 현재 관련 조사에 나선 상태이며, 네이처 역시 "해당 논문 페이지에 결과를 활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는 경고 문구를 달아둔 상태입니다.
하지만 해당 논문 저자들은 직접적인 답변은 거부하면서도 자신들의 연구결과를 믿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황우석 논문 조작 사건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연구 윤리, 특히 연구 이미지 도용이나 복제에 관해서는 민감한 상황입니다.
이번 논문 조작으로 알츠하이머 정복을 위한 지난 16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될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
YTN 양훼영 (hw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