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해 뎅기열 감염자 수가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기후 변화가 뎅기열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은 김재경 의생명수학그룹장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수학 모델을 이용해 기온 상승과 강우 패턴 변화가 뎅기열 확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걸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필리핀 16개 지역의 기후와 뎅기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온 상승이 뎅기열 발병을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와 함께 강우량 증가도 뎅기열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건기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지역에선 뎅기열 발병이 억제된 반면, 건기가 불규칙한 지역에선 촉진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연구팀은 건기가 규칙적으로 유지되면 고인 물에 있던 모기 서식지가 비에 쓸려나가면서 뎅기열 발생을 억제하지만, 건기가 불규칙한 지역에서는 산발적으로 내린 비가 오히려 모기 번식지를 형성해 뎅기열 발생을 촉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푸에르토리코 등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나타나는 걸 확인했습니다.
김재경 교수는 기후 변화가 뎅기열 발병에 미치는 복잡한 영향을 이해하고,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공중보건 전략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과학적 근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뎅기열은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세계보건기구, WHO에 보고된 감염 사례만 2000년 50만 명에서 2019년 520만 명으로 20년 만에 10배가량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YTN 전준형 (jhje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기초과학연구원은 김재경 의생명수학그룹장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수학 모델을 이용해 기온 상승과 강우 패턴 변화가 뎅기열 확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걸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필리핀 16개 지역의 기후와 뎅기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온 상승이 뎅기열 발병을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와 함께 강우량 증가도 뎅기열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건기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지역에선 뎅기열 발병이 억제된 반면, 건기가 불규칙한 지역에선 촉진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연구팀은 건기가 규칙적으로 유지되면 고인 물에 있던 모기 서식지가 비에 쓸려나가면서 뎅기열 발생을 억제하지만, 건기가 불규칙한 지역에서는 산발적으로 내린 비가 오히려 모기 번식지를 형성해 뎅기열 발생을 촉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푸에르토리코 등 다른 지역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나타나는 걸 확인했습니다.
김재경 교수는 기후 변화가 뎅기열 발병에 미치는 복잡한 영향을 이해하고,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공중보건 전략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과학적 근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뎅기열은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세계보건기구, WHO에 보고된 감염 사례만 2000년 50만 명에서 2019년 520만 명으로 20년 만에 10배가량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YTN 전준형 (jhje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