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박보영의 새로운 모습, 낯선 얼굴을 보여주는 것이 목표예요. 제자리걸음이라고 느껴질 때도 있지만 늘 한 발짝이라도 발전하고 앞으로 나아가고 싶어요. (중략) 결국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연기, 더 나아가서는 보시는 분들이 동감하고 공감할 수 있는 ‘좋은 연기’를 하고 싶어요.” (배우 박보영,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인터뷰 中)
누구보다 해사하게 빛나는 에너지, 캐릭터를 온전히 제 것으로 만드는 능력까지. 어느덧 17년 차 두터운 내공으로 매 작품 제 역할을 톡톡히 해내는 배우 박보영 씨가 5년 만에 새 영화로 스크린에 귀환했다.
오랜만에 그가 선택한 영화는 엄태화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콘크리트 유토피아’. 대지진으로 폐허가 되어 버린 서울에서 유일하게 남은 단 한 채의 아파트로 생존자들이 모여들며 시작되는 이야기를 그렸다. 극 중 박보영 씨는 법과 질서가 무너진 극한 현실에서도 따뜻한 마음을 잃지 않고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602호 주민 명화로 분해 영화의 큰 축을 담당했다.
2일 오후 YTN은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통해 또 한 번 새로운 도전에 나선 박보영 씨와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의 한 카페에서 인터뷰를 갖고,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마련했다.
시나리오를 보는 순간 영화의 매력에 빠져 먼저 작품 참여 의사를 전했다는 그는 높은 완성도에 대한 만족감을 전하며 인터뷰의 문을 열었다. 박보영 씨는 “시나리오를 읽으며 세 번 탄성을 내질렀다. 답답한 상황에는 한숨을 쉬고 상상하지 못했던 전개에는 입을 틀어막았다. 결말까지 읽고 하고 싶은 마음이 더욱 커졌다”라며 출연 계기를 설명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에 ‘1번으로 줄을 섰다’라고 표현한 그는 자신이 맡은 명화 캐릭터에 대한 애정도 감추지 않았다. 특히 그간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서 장르를 가리지 않고 능동적이면서 주체적인 캐릭터를 많이 연기했던바, 그는 이번에도 그저 환경에 수동적으로 순응하기보다는 주도적으로 극을 이끈다.
이에 박보영 씨는 “평소 말을 잘 못하거나 불만을 참는 성격인데, 연기를 할 때만큼은 실제 성격과 반대 성향의 역할을 지향하는 것 같다. 다른 사람이 되는 지점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선배 배우인 이병헌 씨를 비롯해, 부부로 함께한 박서준 씨와의 호흡에 대해서는 솔직하면서도 겸손한 태도로 촬영 후일담을 전했다.
현장에서 다른 배우들의 연기를 보며 ‘나는 왜 이렇게 못하지?’라는 고민으로 힘들었다는 그는 ‘한계와 벽’을 체감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엄 감독의 명확하고 디테일한 디렉션과 이병헌 씨의 세밀한 조언 등의 힘을 받아 한층 더 탄탄하게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었다며 이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 또한 박서준 씨에 대해서는 “워낙 편안하게 배려해 주신 덕분에 금방 친해져 부부 연기에 더욱 몰입할 수 있었다”라고 고마움을 표했다.
본인 연기에는 늘 박한 평가를 하며 만족감을 느끼기 어렵다는 박보영 씨. 이번 작품을 통해 성장하고 배운 것은 무엇일까? 평소와 180도 다른 모습을 연기하면 시청자와 관객이 자신에게 거부감을 느낄 수 있기에 늘 세밀하게 톤을 조절한다는 그는 “제가 가진 모습 안에서 최대한 변주해서 보여드리려고 노력했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통해 새로운 장르에 도전하고, 다양한 경험을 하며 그간 본 적 없던 박보영의 얼굴을 조금은 보여드릴 수 있던 것 같다”라며 슬며시 웃어 보였다. 너무 밝은 모습이 자신의 강점이자 단점이라고 생각해 한동안은 고민이 많았다는 박보영 씨.
하지만 그는 “여러 순간을 지나고 살아가며 올해 나의 웃는 모습이 다르고, 내년에 나의 웃는 모습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지금은 운이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조급함보다 한층 여유로운 마음으로 연기에 임한다고 밝혔다.
고민하고 발전하기를 멈추지 않는 그가 생각하는 ‘좋은 연기’란 무엇일까? 박보영 씨는 “일단 스스로가 만족할 수 있는 연기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서는 보시는 분들이 제 연기를 보고 캐릭터를 이해하며 그 감정에 동감하고 공감할 수 있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끊임없이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현재에 정체되는 것을 무엇보다 지양한다는 박보영 씨는 이미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통해 자신이 목표하는 곳으로 한 발짝 성큼 다가간 듯했다.
YTN 김성현 (jamkim@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누구보다 해사하게 빛나는 에너지, 캐릭터를 온전히 제 것으로 만드는 능력까지. 어느덧 17년 차 두터운 내공으로 매 작품 제 역할을 톡톡히 해내는 배우 박보영 씨가 5년 만에 새 영화로 스크린에 귀환했다.
오랜만에 그가 선택한 영화는 엄태화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콘크리트 유토피아’. 대지진으로 폐허가 되어 버린 서울에서 유일하게 남은 단 한 채의 아파트로 생존자들이 모여들며 시작되는 이야기를 그렸다. 극 중 박보영 씨는 법과 질서가 무너진 극한 현실에서도 따뜻한 마음을 잃지 않고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602호 주민 명화로 분해 영화의 큰 축을 담당했다.
2일 오후 YTN은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통해 또 한 번 새로운 도전에 나선 박보영 씨와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의 한 카페에서 인터뷰를 갖고,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마련했다.
시나리오를 보는 순간 영화의 매력에 빠져 먼저 작품 참여 의사를 전했다는 그는 높은 완성도에 대한 만족감을 전하며 인터뷰의 문을 열었다. 박보영 씨는 “시나리오를 읽으며 세 번 탄성을 내질렀다. 답답한 상황에는 한숨을 쉬고 상상하지 못했던 전개에는 입을 틀어막았다. 결말까지 읽고 하고 싶은 마음이 더욱 커졌다”라며 출연 계기를 설명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에 ‘1번으로 줄을 섰다’라고 표현한 그는 자신이 맡은 명화 캐릭터에 대한 애정도 감추지 않았다. 특히 그간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서 장르를 가리지 않고 능동적이면서 주체적인 캐릭터를 많이 연기했던바, 그는 이번에도 그저 환경에 수동적으로 순응하기보다는 주도적으로 극을 이끈다.
이에 박보영 씨는 “평소 말을 잘 못하거나 불만을 참는 성격인데, 연기를 할 때만큼은 실제 성격과 반대 성향의 역할을 지향하는 것 같다. 다른 사람이 되는 지점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선배 배우인 이병헌 씨를 비롯해, 부부로 함께한 박서준 씨와의 호흡에 대해서는 솔직하면서도 겸손한 태도로 촬영 후일담을 전했다.
현장에서 다른 배우들의 연기를 보며 ‘나는 왜 이렇게 못하지?’라는 고민으로 힘들었다는 그는 ‘한계와 벽’을 체감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엄 감독의 명확하고 디테일한 디렉션과 이병헌 씨의 세밀한 조언 등의 힘을 받아 한층 더 탄탄하게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었다며 이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했다. 또한 박서준 씨에 대해서는 “워낙 편안하게 배려해 주신 덕분에 금방 친해져 부부 연기에 더욱 몰입할 수 있었다”라고 고마움을 표했다.
본인 연기에는 늘 박한 평가를 하며 만족감을 느끼기 어렵다는 박보영 씨. 이번 작품을 통해 성장하고 배운 것은 무엇일까? 평소와 180도 다른 모습을 연기하면 시청자와 관객이 자신에게 거부감을 느낄 수 있기에 늘 세밀하게 톤을 조절한다는 그는 “제가 가진 모습 안에서 최대한 변주해서 보여드리려고 노력했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통해 새로운 장르에 도전하고, 다양한 경험을 하며 그간 본 적 없던 박보영의 얼굴을 조금은 보여드릴 수 있던 것 같다”라며 슬며시 웃어 보였다. 너무 밝은 모습이 자신의 강점이자 단점이라고 생각해 한동안은 고민이 많았다는 박보영 씨.
하지만 그는 “여러 순간을 지나고 살아가며 올해 나의 웃는 모습이 다르고, 내년에 나의 웃는 모습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지금은 운이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조급함보다 한층 여유로운 마음으로 연기에 임한다고 밝혔다.
고민하고 발전하기를 멈추지 않는 그가 생각하는 ‘좋은 연기’란 무엇일까? 박보영 씨는 “일단 스스로가 만족할 수 있는 연기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서는 보시는 분들이 제 연기를 보고 캐릭터를 이해하며 그 감정에 동감하고 공감할 수 있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끊임없이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현재에 정체되는 것을 무엇보다 지양한다는 박보영 씨는 이미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통해 자신이 목표하는 곳으로 한 발짝 성큼 다가간 듯했다.
YTN 김성현 (jamkim@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