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을 만하면 또 '연예인 리스크'...반복되는 거짓말 왜?

잊을 만하면 또 '연예인 리스크'...반복되는 거짓말 왜?

2024.05.27. 오후 3:0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가수 김호중 씨 음주 뺑소니를 비롯해 인기 연예인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사건이 잊을 만하면 한 번씩 터지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거짓말하며 오히려 사건을 키우는 경우가 많았는데 왜 이런 일들이 반복되는지 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가수 김호중 씨의 뺑소니 사고가 이렇게까지 커진 건 첫 단추를 '거짓말'로 꿰었기 때문입니다.

음주운전 사고를 숨기고자 막내 매니저에 허위 자수를 종용했고,

소속사도 김 씨를 보호하다가 거짓말이 거짓말을 낳으면서 큰 인명사고가 아닌데도 줄줄이 구속됐습니다.

[김호중 / 가수 (지난 24일) : (메모리 카드 직접 제거하셨나요?) 죄송합니다. (사고 직후 현장 떠난 이유 뭔가요?) 죄송합니다.]

빅뱅 전 멤버 승리도 지난 2019년 '버닝썬 게이트'로 갖가지 의혹이 제기되자 혐의를 부인했고, 심지어 증거 조작을 주장했지만 이 역시 거짓말이었습니다.

이후 도망가듯 입대한 뒤 무려 9개 혐의로 실형을 살고 출소했지만 사실상 국내 연예계 복귀는 어려워 보입니다.

[승리 / 그룹 빅뱅 전 멤버(지난 2019년) : 많은 분께 실망을 드렸습니다. 다시 한 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고요.]

인기 연예인들의 경우 죄를 짓고도 빠져나갈 수 있다는 믿음이 일반인들보다 더 강해 혐의를 부인하는 경향성이 두드러진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윤호 /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명예교수 : 일단은 들키지 않을 거라고 믿고 싶었을 것이고 주변에 이제 회사라든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많으니까.]

또, 여론의 관심이 꺼질 때까지 버티는 게 유리한 만큼 직접 입증이 까다로운 혐의를 일단 부인하는 전략을 택한 것 같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오윤성 /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김호중의 경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음주 대사체'라고 하는 것이 안 나왔으면 이제 음주 (입증은) 물 건너간 건데 그게 딱 나왔잖아요.]

이와 함께 순간적인 방어 본능이 작동해 일반 상식과 다른 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여론의 배신감까지 더해져 결국 회복하기 어려운 이미지 타격이 가해졌다는 평가입니다.

YTN 김승환입니다.

영상편집 : 오훤슬기


YTN 김승환 (ks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