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1990년대 우리 대중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외국 배우를 꼽으라면 장국영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비극적으로 삶을 마감한 지 20년 이상이 흘렀지만 아직도 장국영이 숨진 날에 맞춰 추모 영화가 상영되고 다양한 행사가 열립니다.
우리는 왜 장국영을 그리워하는지, 박순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장국영이 한국 팬들에게 이름을 알린 건 영화 [영웅본색]과 [천녀유혼]입니다.
이어 [아비정전] [패왕별희] [해피투게더] 등을 통해, 꽃미남 배우에서 연기의 스펙트럼을 넓히며 대체 불가 배우로 자리 잡습니다.
90년대 홍콩영화의 인기에는 장국영의 역할이 컸습니다.
올해도 장국영이 숨진 4월 1일을 맞아 풋풋한 20대 모습을 볼 수 있는 데뷔작과 주요 작품이 다시 스크린에 올랐습니다.
배우 장국영을 매개로 우리나라와 홍콩의 사회적 상황을 함께 생각해보는 연극도 많은 관객의 공감을 얻고 있습니다.
[장국영을 사랑하는 모임] 회원들이 홍콩으로 추모 여행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송환법]에 반대하는 홍콩 민주화 시위에 휘말리면서 예상치 못한 사건 속으로 빠져듭니다.
이 과정에서 회원들과 시위대는 묘한 연대감을 느끼게 됩니다.
[연극 굿모닝 홍콩 연출가 최원종 : 1980년대, 90년대 홍콩영화에는 특별한 감성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그 당시 우리가 갖고 있지 않았던 자유로움이었거든요. / 이 작품은 그런 홍콩영화와 함께 젊은 날을 보낸 분들과 떠나는 추억 여행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홍콩의 분위기도 다르지 않습니다.
해마다 장국영이 숨진 날에 맞춰 투신한 호텔 주변에서 많은 추모 행사가 열립니다.
참가자들은 장국영으로 대표되는 홍콩의 대중문화, 나아가 당시 홍콩의 자유로운 문화를 그리워하고 있습니다.
[Justin Cho, Hong Kong resident : 우리는 장국영을 정말로 그리워하고 있습니다.그의 노래와 영화는 과거 홍콩의 황금기로 우리를 데려다 주는 것 같아요. 요즘과 달리 홍콩이 정말로 좋았던
시절이었죠. 그래서 우리는 장국영을 그리워합니다.]
우리 팬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민주화가 완성되기 전인 90년대 중반까지 장국영과 홍콩영화는 자유의 상징이었습니다.
이어 96년 영화 사전검열 폐지로 우리 대중문화도 꽃피기 시작했고 결국, 장국영은 우리 대중문화와 함께 성장한 배우여서 의미가 남다릅니다.
[정태진 / 영화 제작자 겸 장국영 영화 배급사 대표 : 한국 팬들이 아직도 수십 년 동안 이렇게 모여서 / 제사 때, 행사할 때, 영화 상영할 때, 이렇게들 도와주고 서로 관심을 가지고 아마 / 한국만 그런 게 있는 것 같아요. 저는]
힘들 때 누구나 자신만의 '화양연화'를 떠올립니다.
많은 사람이 장국영을 그리워하는 건 결국, 우리 시대가 여전히 힘들고 그래서 그의 영화가 담고 있는 자유와 청춘을 갈망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YTN 박순표입니다.
촬영기자:이현오
YTN 박순표 (sunn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990년대 우리 대중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외국 배우를 꼽으라면 장국영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비극적으로 삶을 마감한 지 20년 이상이 흘렀지만 아직도 장국영이 숨진 날에 맞춰 추모 영화가 상영되고 다양한 행사가 열립니다.
우리는 왜 장국영을 그리워하는지, 박순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장국영이 한국 팬들에게 이름을 알린 건 영화 [영웅본색]과 [천녀유혼]입니다.
이어 [아비정전] [패왕별희] [해피투게더] 등을 통해, 꽃미남 배우에서 연기의 스펙트럼을 넓히며 대체 불가 배우로 자리 잡습니다.
90년대 홍콩영화의 인기에는 장국영의 역할이 컸습니다.
올해도 장국영이 숨진 4월 1일을 맞아 풋풋한 20대 모습을 볼 수 있는 데뷔작과 주요 작품이 다시 스크린에 올랐습니다.
배우 장국영을 매개로 우리나라와 홍콩의 사회적 상황을 함께 생각해보는 연극도 많은 관객의 공감을 얻고 있습니다.
[장국영을 사랑하는 모임] 회원들이 홍콩으로 추모 여행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송환법]에 반대하는 홍콩 민주화 시위에 휘말리면서 예상치 못한 사건 속으로 빠져듭니다.
이 과정에서 회원들과 시위대는 묘한 연대감을 느끼게 됩니다.
[연극 굿모닝 홍콩 연출가 최원종 : 1980년대, 90년대 홍콩영화에는 특별한 감성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그 당시 우리가 갖고 있지 않았던 자유로움이었거든요. / 이 작품은 그런 홍콩영화와 함께 젊은 날을 보낸 분들과 떠나는 추억 여행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홍콩의 분위기도 다르지 않습니다.
해마다 장국영이 숨진 날에 맞춰 투신한 호텔 주변에서 많은 추모 행사가 열립니다.
참가자들은 장국영으로 대표되는 홍콩의 대중문화, 나아가 당시 홍콩의 자유로운 문화를 그리워하고 있습니다.
[Justin Cho, Hong Kong resident : 우리는 장국영을 정말로 그리워하고 있습니다.그의 노래와 영화는 과거 홍콩의 황금기로 우리를 데려다 주는 것 같아요. 요즘과 달리 홍콩이 정말로 좋았던
시절이었죠. 그래서 우리는 장국영을 그리워합니다.]
우리 팬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민주화가 완성되기 전인 90년대 중반까지 장국영과 홍콩영화는 자유의 상징이었습니다.
이어 96년 영화 사전검열 폐지로 우리 대중문화도 꽃피기 시작했고 결국, 장국영은 우리 대중문화와 함께 성장한 배우여서 의미가 남다릅니다.
[정태진 / 영화 제작자 겸 장국영 영화 배급사 대표 : 한국 팬들이 아직도 수십 년 동안 이렇게 모여서 / 제사 때, 행사할 때, 영화 상영할 때, 이렇게들 도와주고 서로 관심을 가지고 아마 / 한국만 그런 게 있는 것 같아요. 저는]
힘들 때 누구나 자신만의 '화양연화'를 떠올립니다.
많은 사람이 장국영을 그리워하는 건 결국, 우리 시대가 여전히 힘들고 그래서 그의 영화가 담고 있는 자유와 청춘을 갈망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YTN 박순표입니다.
촬영기자:이현오
YTN 박순표 (sunny@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