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에 심은 나무..."사막화 막고 황사 줄이고"

몽골에 심은 나무..."사막화 막고 황사 줄이고"

2021.10.03. 오전 02:2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2007년부터 우리나라는 몽골 사막 지역에 나무를 심어왔습니다.

15년째로 접어드는 지금, 몽골 사막은 어떻게 변했을까요?

김진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서쪽으로 130km를 달리면 '룬솜' 지역이 나옵니다.

군데군데 초원이 보이지만, 15년 전만 해도 이곳은 사막화가 급속히 진행되던 황무지였습니다.

매년 봄마다 엄청난 양의 모래가 떠올라 황사로 변해 한반도까지 날아오기도 했습니다.

이곳에 우리나라는 몽골 고유 수종인 비술나무, 성장이 빠른 포플러 등을 심었습니다.

건조하고 차가운 기후에 잘 견디는 데다 주민들에게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수종이기 때문입니다.

15년이 지난 지금 이 나무들은 10m가 넘는 키로 자라나 사막이 확대하는 것을 막는 방어선이 됐습니다.

[최병암 / 산림청장 : 룬솜 지역 몽골 사람들이 우리가 심은, 조림 성공한 숲을 보고 매우 놀라고 있고, 굉장히 아끼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 지역 인구도 늘고 있어서 (지역 발전 효과도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숲이 없어 삭막했던 수도, 울란바토르에는 도시 숲이 조성됐습니다.

40헥타르, 축구장 40개 크기의 땅에 비술나무와 갈매 보리수, 시베리아 낙엽송 등 나무 3만 그루가 심어져 몽골인들의 휴식처로 자리 잡게 됩니다.

이어 내년부터는 시커먼 재만 남아 있는 대형 산불 피해 지역의 복원 작업도 진행됩니다.

산림청은 몽골과의 산림 협력을 통해 황사 저감뿐 아니라 지구 차원의 기후 생태 위기를 극복하는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YTN 김진두입니다.

YTN 김진두 (jdkim@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