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 수도권 집중호우 '피해 속출'...밤부터 또 극한호우?

[이슈플러스] 수도권 집중호우 '피해 속출'...밤부터 또 극한호우?

2024.07.17. 오후 6:5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이여진 앵커, 장원석 앵커
■ 출연 : 김진두 기상·재난 전문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PLUS]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김진두 기상·재난 전문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하늘에 구멍이 뚫린 것 같다, 집앞에 워터파크가 개장한 줄 알았다. 이런 반응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비가 내린 겁니까?

[기자]
우선 출근길에 수도권에 굉장히 강한 비가 내렸는데 방금 이야기했듯이 퇴근길에도 지금 강한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레이더 영상을 보면서 설명드리면 좋을 것 같은데요. 지금 같은 경우에는 장마전선상에서 굉장히 강한 비구름들이 계속해서 발달하고 있다라는 게 문제고요. 이게 현재 레이더 영상입니다. 붉은색, 자주색으로 표현된 지역은 시간당 30mm 이상의 비가 내리는 지역입니다. 특히 인천 지역 같은 경우에는 긴급재난문자까지 발송된 상태고요. 수도권 쪽으로 이렇게 길게 동서로 분포하는 이런 형태의 비구름이 상당히 무서운 비구름입니다. 그런데 이게 계속해서 머물지는 않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계속 이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퇴근길, 그러니까 앞으로 한 2시간 정도. 8시 정도까지는 경기 북부,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비가 내리다가 잠시 비가 소강상태에 들 겁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뒤를 따라오는 비구름입니다. 이게 그대로 동진을 할 경우에는 다시 수도권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고 그 시기는 내일 새벽쯤이 될 가능성이 무척 높아 보입니다.

[앵커]
경기 파주와 의정부시에서는 시간당 100mm가 넘는 비가 쏟아졌는데요. 이 정도 비가 쏟아진다고 하면 어떤 피해를 예상할 수가 있습니까?

[기자]
우선 100mm의 비는 어느 지역이든지 무조건 피해가 발생합니다. 1시간에 100mm가 내렸다는 것은 무조건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비라고 보시면 됩니다. 2시간에 100mm, 그러니까 1시간에 50mm씩만 내려도 피해가 발생합니다. 3시간에 30mm씩 해서 90mm의 비가 와도 피해가 발생합니다. 긴급재난 문자가 발송될 수 있는 조건을 충분히 만족하는 거고 무조건 피해가 발생한다. 도심 지역이든 농촌 지역이든지 무조건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그때 내리는 비는 시야를 확보할 수가 없는 정도의 비입니다. 그러니까 운전도 안 되고요. 밖에 나갔을 경우에 시야를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에 처할 수 있는 그런 정도의 거의 극한 호우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의 비라고 보시면 됩니다.

[앵커]
사실 집중호우는 시간당 30mm만 돼도 집중호우라고 하는 거잖아요. 실제 피해 사례를 보면 1시간에 100mm가 넘었던 게 2022년 서울 강남역 침수 때 그 정도 피해인가요?

[기자]
서울에도 시간당 100mm의 비가 내린 사례가 있었습니다. 말씀하셨던 강남역 침수가 있고요. 그전으로 돌아가면 광화문에도 시간당 100mm의 비가 내리면서 도심이 거의 물에 잠긴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는 감전사고도 잇따랐습니다. 그 이후에 전기 시설들을 올리면서 그 뒤로는 감전사고가 줄었지만 당시에는 인명 피해도 굉장히 많았던 상황이었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시간당 100mm 정도의 그런 엄청난 극한호우의 빈도가 점점 잦아지고 있다라는 얘기입니다. 특히 충청과 남부지방에는 그동안 200년 빈도의 강우가 기록된 곳이 많았거든요. 200년 빈도라면 200년 내 처음 내린 비입니다. 그 정도의 강한 비가 계속해서 내리고 있는 상태였고 특히 이번에 수도권에도 시간당 100mm가 넘는 비가 내렸고 서울에도 시간당 60mm 이상의 비가 내리면서 올 여름 들어 처음으로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기도 한 상태였습니다. 그러니까 어제와 오늘 사이 내리는 비는 굉장히 강력한 비 그리고 한 번 내릴 때마다 100년 빈도, 200년 빈도의 강수를 만날 수밖에 없게 되는 그런 굉장히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네요.

[앵커]
시간당 30mm, 시간당 100mm. 이게 숫자로 들으면 잘 이해가 안 가거든요. 양동이로 퍼붓는 수준이면 어느 정도라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양동이로 퍼붓는 수준이라고 하면 기본적으로 시간당 50mm 이상 그리고 폭포물에 들어가서 실제로 폭포물을 맞는 게 시간당 70mm 이상, 저도 100mm는 본 적이 없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렇게 극한 호우, 시간당 100mm라는 극한 호우가 올해 들어서만 벌써 8차례 기록이 됐더라고요. 이건 굉장히 많은 빈도 아닙니까?

[기자]
최근 들어서 제가 본 사례 중에서 가장 많은 빈도입니다. 그러니까 보통 100mm가 넘는 강우량이 기록된 게 여름철 전반을 통틀어서 한 두세 군데 정도, 그렇게 강한 강수가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올해는 충청과 남부지방의 비도 그랬고요. 수도권에서도 지금 100mm 빈도의 강한, 강력한 폭우가 지금 나타나고 있거든요.
이게 결론적으로 장마 기간은 비슷하지만 장마 기간 동안의 강수량은 비슷하지만 비가 내리는 날짜는 조금 줄어들고 대신 한 번에 쏟아붓는 비의 양이 굉장히 많아지는. 기본적으로 온난화로 인해서 기온 자체가 상승을 하면서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는 능력이 점점 더 늘어나기 때문에 한 번에 비가 내렸을 때 더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형태로 한반도 기후도 점점 바뀌어가고 있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런가 하면 취약시간인 야간에 비가 많이 옵니다.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납니까?

[기자]
보통 야간이 되면 낮 동안에 뜨거웠던 열기가 조금 식으면서 상층의 차가운 공기가 내려온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까 현재로는 북태평양고기압이 확장해 있는 상태인데요. 그래픽을 잠깐 보실까요. 보통 이렇게 동서로 길게 장마전선이 분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동서로 길게 분포하고 있는 상태인데요. 그래픽을 보여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뭐냐 하면 이 상황에서는 현재 남쪽으로는 북태평양고기압, 뜨겁고 습한 성질의 북태평양고기압이 확장하고 있는 상태고요. 북쪽에서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상층에서 내려오는 상태입니다. 그 경계에서 온도차가 심하기 때문에 굉장히 강력한 비구름이 발달하는 거거든요. 그런데 이런 상황이라면 문제가 뭐냐 하면 밤이 되면 차가운 공기의 세력이 조금 더 강해집니다. 그러니까 뜨겁고 습한 공기의 남쪽, 북쪽의 차가운 공기의 온도 차가 더 심해지면서 비구름이 더 강력하게 발달하는 계기가 되는 겁니다. 이런 상황이 되니까 야행성 폭우가 더 잦아지는 패턴을 보이는 거고요. 또 밤사이 비가 내린 게 강하게 발달한 비구름이 내륙으로 들어오면 밤부터 아침 사이까지 굉장히 강한 비가 내륙을 강타하는 그런 현상들이 자주 나타나고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짧은 시간 안에 강한 비가 그리고 취약시간대인 밤에 나타나니까 비 피해도 많이 입었을 것 같습니다. 어떻습니까?

[기자]
그렇죠. 아무래도 야간이면 사람들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호우 긴급재난문자가 이게 의미가 있는 게 잠을 자고 있다가 침수가 돼버리면 사람이 인명피해가 날 수 있는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 거거든요. 그런데 호우 긴급재난문자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강한 굉음과 함께 문자가 발송이 되거든요. 그렇다면 자고 있다가 그 소리 때문에 깰 수밖에 없고 상황을 파악하면 순식간에 빠른 시간 안에 대피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겁니다. 따라서 그런 현상 때문에 요즘처럼 야행성 폭우가 잦아지는 시기에는 호우 긴급재난문자를 현재는 수도권은 정식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광주전남 지역, 대구경북 지역은 시범운영을 하고 있는데 전국으로 확대해야 할 필요성이 이번에 확실하게 나타나고 있는 겁니다.

[앵커]
그래서 이번 비로 수도권에 호우 긴급재난문자가 처음으로 발송이 됐는데 문자를 딱 듣게 되고 보게 된다면 어떤 일부터 해야 됩니까?

[기자]
우선 평소에 체크를 하셔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침수가 많은, 침수가 잦은 지역에 계신 분들, 특히 반지하에 살고 계신 분들은 어떤 통로를 통해서 내가 대피를 해야 하는지를 미리 파악하시는 게 좋고요. 그 대피로를 통해서 어디로 이동할지를 먼저 머릿속에 계산을 하고 계셔야 합니다. 그리고 긴급문자를 받는다면 그 순간에 평소에 익숙하게 정리해놨던 그 통로를 이용해서 몸을 피할 수 있는 안전한 지역으로, 고지대로 이동하시는 게 가장 중요한 상황이고요. 또 이렇게 200mm 이상의 비가 예보됐을 때는 물막이판 같은 건 미리 올려놔서 새벽 상황에 굉장히 강한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리 시설물 피해도 막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앵커]
지금 수도권 집중호우에는 정체전선상에 중규모 저기압이 활성화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이런 얘기가 있는데 지금 그 중규모 저기압이라는 게 뭔지 설명을 해 주시죠.

[기자]
보통 이렇게 정체전선이 형성돼 있을 때는 남쪽의 따뜻한 공기가 북태평양고기압으로 되어 있는 거고요. 상층에 또 차가운 공기가 있는 상태인데 평소에 굉장히 강력한 저기압보다는 규모는 작습니다. 규모는 작은데 그런 저기압들이 하나씩 올라갈 때마다 이 뜨거운 공기, 차가운 공기 사이에 이런 저기압이 지나가거든요. 그렇게 될 경우에는 저기압 소용돌이 때문에 굉장히 강력한 비구름이 발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저기압이 한번 지나고 느리게 지나갈 경우에는 폭우가 굉장히 쏟아질 가능성이 높고 지난주에 나타났던 충청도 폭우 같은 경우가 그런 형태였거든요. 이런 중규모 저기압 같은 경우 아주 대규모 저기압은 아니지만 정체전선상에서 발달하면서 한 번씩 이런 게 통과할 때마다 굉장히 강력한 비를 쏟아붓는 그런 형태의 특성을 보입니다.

[앵커]
그런데 이게 지금 강수량 예측이 어렵습니까? 중규모 저기압이?

[기자]
솔직히 슈퍼컴퓨터 예측 모델을 통해서 기상청도 밤사이 수도권이 위험할 거다라고 예측을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어느 지역에 얼마 정도의 비가 내릴지는 슈퍼컴 예측 모델을 보고 유추할 뿐이지 정확하게 예측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이게 중규모의 저기압이 통과할 때 지금 수도권을 통과한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밤이 되니까 북태평양고기압이 조금만 스쳐가면 수도권이 아니라 충청 지방을 지나갈 수도 있고요. 북태평양고기압이 그대로 약간 세력을 유지하면 수도권이 아니라 경기북부 휴전선 부근을 통과할 수도 있거든요. 그리고 이런 정도의 저기압이 얼마만큼의 비를 쏟는지도 상당히 어렵습니다. 어제와 그제 남부지방에 굉장히 강한 비가 내렸지 않습니까?

100mm 이상의 비가 내렸거든요. 그때 기상청은 최고 강우량을 80mm를 예상했었습니다. 그런데 200mm가 넘었죠. 시간당 100mm의 비가 내렸거든요. 그러니까 분명 시그널은 있었습니다. 모든 모델에서 뭔가 정체전선이 비구름이 동서로 길게 걸려있을 가능성은 예측했지만 그렇게 많은 비가 내릴지는 생각을 못했던 거죠. 그러니까 북태평양고기압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우리나라 근처까지 올라온 상태기 때문에 밤사이 찬공기가 유입이 돼서 뭔가 영향을 주면 두 공기가 강하게 부딪치면 언제라도 시간당 100mm 이상의 극한 호우가 어느 지역에든 쏟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지는 때가 지금입니다. 장마의 후반부. 지금 이 상황에서는 오늘 밤사이 수도권 지역에도 시간당 100mm 이상의 비가 내리지 않는다, 예측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래서 기상청도 적어도 시간당 70mm 이상의 극한호우가 쏟아질 거라고 현재 예측은 한 상태고 그 지역이 수도권이 될 거라고 예측은 했지만 실제 강력한 비구름이 어느 지역을 통과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합니다.

[앵커]
이번에 앞서도 레이더 영상 보여주셨지만 동서로 길게 띠 형태로 비구름이 북, 남으로 왔다갔다하는 건데 그러면 이번에도 남에서 북쪽으로 올라온 것 아니겠습니까? 이게 계속 왔다갔다하면서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는 건가요?

[기자]
그러니까 장마전선이 올라왔다는 이야기는, 남부지방에서 중부로 올라왔다는 이야기는 무더위를 몰고 오는 북태평양고기압이 확장을 했다라는 이야기거든요. 거기에 밀려서 중부지방으로 올라온 겁니다. 그런데 당분간 다시 남해안으로 내려갈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어느 부분으로 움직이냐면 전라북도, 경상북도, 북쪽. 충청도,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고 그게 다음 주 초반까지는 그렇게 움직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그런데 다음 주 중반 정도가 되면 제주도와 남부지방은 장마권에서 벗어날 겁니다. 마지막 중부지방이 언제 벗어나느냐는 조금 더 두고봐야 합니다. 특히 중부지방에서도 수도권과 강원도 지역이 가장 마지막으로 장마전선의 영향에서 벗어나는데 그 시기는 다음 주 목, 금 정도 그때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오늘 이렇게 극한호우가 시간당 100mm가 넘게 쏟아진 극한호우가 쏟아진 수도권이 또 집중호우가 밤사이 예보돼 있지 않습니까?

[기자]
또 극한호우가 올 수 있습니다.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요.

[앵커]
어느 정도로 예상을 할까요? 지금 물론 어렵기는 하겠지만.

[기자]
시간당 70mm의 강우량을 예상했거든요. 그러니까 학습을 한 겁니다. 남부지방에서도 그렇고 오늘 아침에도 그렇고 비구름이 이렇게 발달하는 조건만 충분히 만들어진다면 굉장히 강력한 비가 내릴 수 있구나라는 걸 이미 기상청이 그걸 반영을 해서 지금 예보를 낸 거거든요. 그런데 시간당 70mm 이상의 강력한 호우라면 시간당 100mm도 내릴 수 있는 거고요. 1시간에 100mm의 비가 내린다면 현재 강우량을 모레까지 200mm를 예상했는데 그게 오늘 밤사이에 내릴 수도 있고요. 그다음에 더 추가되면 적어도 200mm 이상이라고 했으니까 250mm~300mm 이상의 비가 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그 지역이 수도권이 될지 충정이 될지, 현재는 수도권이 가장 위험하다고 예측을 하고 있지만 밤사이 상황에서 아까 말씀드렸듯이 어느 지역을 지날지는 굉장히 면밀하게 검토하고 상황이 안 좋아지면 바로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할 겁니다.

[앵커]
그런가 하면 남부지방에서는 낙뢰도 수천 번씩 치는 현상이 발생했는데 폭우와 함께 낙뢰가 떨어진 이유는 뭡니까?

[기자]
우선 아까 말씀드렸듯이 온도차가 큰 두 공기가 만나면 비구름이 폭발적으로 발생합니다. 그러니까 하층에서부터 굉장히 높은 궤도까지 비구름이 발생하면 그런 상태에서 폭우가 낙뢰를 동반합니다. 그런데 낙뢰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특히 전남 지역 같은 경우는 시간당 100mm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졌기 때문에 충분히 낙뢰가 이어졌던 거고요. 경기 북부 지역에서도 낙뢰가 동반됐습니다. 그런 상황이기 때문에 여름철에 집중호우가 쏟아질 때는 꼭 낙뢰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라는 것 명심하시고요. 나무 밑은 안 되고 굉장히 낮은 지역에서 몸을 숨기거나 암반으로 된 산을 등반하시는 분들은 최대한 빨리 신속하게 안전한 위치로 대피를 하셔야 합니다. 과거에 암벽등반을 즐기던 분들이 암반에 낙뢰가 치면서 감전사를 당하는 사례도 있었기 때문에 굉장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가장 안전한 위치는 차 안입니다.

[앵커]
오늘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내렸었고 그런데 지금 또 중부, 서해안 쪽은 강풍특보가 내렸고요. 또 남부지방은 폭염특보가 내렸습니다. 좁은 땅덩이인데도 이렇게 다양한 날씨가 나타나고 있는 건데 며칠 전만 해도 사실 남부에 장마가 내렸었고 중부는 폭염이 있었는데 바뀌었단 말이에요. 이렇게 극과 극 날씨가 나오는 이유는 뭡니까?

[기자]
장마가 끝나가는 과정에는 남부지방은 장마가 끝나고 중부지방이 장맛비가 내리는 겁니다. 그러니까 장마전선이 남쪽에서부터 서서히 올라오다가 그 이후에는 북한으로 올라가면서 장마가 끝나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남부지방에 머물고 있는 장마전선이 이제 중부지방을 주 무대로 해서 올라왔다. 200년 빈도의 비를 쏟아부은 장마전선이 이제는 중부지방에 주로 머문다. 그리고 다음 주가 되면 이 장마전선이 북한으로 올라가면서 한 달 정도에 걸친 장마가 끝난다 이렇게 보시면 되거든요. 그러니까 장마의 후반부에는 제주도는 장마권에서 벗어나고요. 남부도 서서히 벗어나면서 중부지방에 많은 비가 내리고 마지막에는 서울, 수도권과 강원도 지역에 장맛비가 강하게 내리다가 장마가 끝나게 되는 겁니다. 그러니까 장마의 프로세스상 지금이 남부가 아니라 이제는 중부지방이 다음 주 초까지는 주 무대가 될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앵커]
그리고 지금 곳곳에 극한호우가 많이 쏟아졌기 때문에 산 그리고 토양이 약해져 있는 상태란 말이죠. 그래서 산사태 위험이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어떤 전조증상을 걱정해야 될까요?

[기자]
산사태 같은 경우 현재 토양이 비를 잔뜩 머금은 상태라면 이제 또 한 차례 강한 비가 쏟아지면 토양이 버티지 못합니다. 그렇게 나타나는 게 산사태, 축대 붕괴라든지 시설물 피해로 나타나게 되는데요. 산사태 같은 경우는 전조증상이 있습니다. 뭔가 우르릉 하는 소리가 들린다거나 또는 샘에서 물이 솟는다거나 또는 하수가 역류한다거나 이런 소리들, 또 나무가 갑자기 먼 산에 있는 나무가 갑자기 흔들린다거나 이런 전조증상이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을 미리 대처하시면 좋을 것 같고요. 특히 이번에 산림청에서 산사태 예비경보라는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그게 뭐냐 하면 산사태 발생 위험이 크면 사전에 예비경보를 내려서 대피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한 겁니다. 그러니까 산사태 위험지역 같은 경우에는 산사태 예비경보가 발령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고 그렇게 산사태 예비경보가 발령되면 다른 거 생각하지 마시고 최대한 신속하게 안전한 대피장소로 이동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앵커]
2020년이 역대 최장 장마 54일이었습니다. 이번 장마는 어느 정도 될까요?

[기자]
제가 지금까지 모델을 봤을 때는 다음 주 후반 정도면 장마는 끝날 겁니다. 보통 서울의 장마, 그러니까 중부지방의 장마가 끝나는 시기가 7월 25일 정도가 평년이었습니다. 그러니까 비슷한 시기에 장마가 끝나는 거죠. 장마 시작도 예년과 비슷했고 장마가 끝나는 시기도 예년과 비슷합니다. 그러니까 올해 장마는 기간은 예년과 아주 비슷한 일반적인 장마였지만 극한 호우, 200년 빈도의 집중호우, 극한 호우를 동반하면서 굉장히 많은 피해를 줬던 특이한 형태의 장마로 기록이 될 겁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지금까지 장마 상황과 전망 김진두 기상재난전문기자였습니다. 말씀 고맙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24 YTN 서울투어마라톤 (2024년 10월 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