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공기가 따뜻한 서해 지나며 눈구름 강하게 발달
상층 흐름 정체…-40℃ 이하 찬 공기 계속 내려보내
하층에는 대륙 고기압 발달…찬 북서풍 내보내
상층 흐름 정체…-40℃ 이하 찬 공기 계속 내려보내
하층에는 대륙 고기압 발달…찬 북서풍 내보내
AD
[앵커]
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서해안 폭설의 원인과 한파 전망까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민경 YTN 기상·재난전문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먼저 폭설 상황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충남과 호남 눈, 얼마나 내린 건가요?
[기자]
네, 어제 오후부터 지금까지 눈구름의 이동을 볼 수 있는 레이더 영상을 준비했는데요.
화면 보실까요?
북서쪽에서 눈구름대가 충남과 호남으로 끊임없이 밀려들어 옵니다.
그런데 눈구름대 중 일부는 강하게 발달했고, 일부는 약한 상태로 섞여 있어서 어떤 구름대가 들어오느냐에 따라 눈이 강하게 쏟아졌다 약해지기를 반복했는데요.
순창과 부안 등 전북 지역에는 15cm 안팎, 충남 서천과 경남 함양 등 영남 서쪽 지역에서도 10cm 안팎의 눈이 내렸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원인도 궁금한데요.
서해에서는 왜 그렇게 계속해서 구름이 만들어지는 건가요?
[기자]
네, 가장 큰 이유는 찬 공기가 바람을 타고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를 지나 우리나라로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공기와 바다의 온도 차가 클수록 구름이 강하게 발달하는데요.
거슬러 올라가 보면, 대기 상층의 흐름이 정체된 탓에 저기압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톱니바퀴처럼 제자리에서 돌면서 영하 40도 이하의 매우 찬 공기를 미끄럼틀 타듯이 계속 내려보내고 있습니다.
상층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대기 하층에서는 북서쪽 시베리아 부근의 찬 대륙 고기압을 강하게 발달시켜서 우리나라로 차가운 공기를 지속적으로 내보내는 건데요.
하층에서도 워낙 공기가 차가운 탓에 바다와의 온도 차가 30도 이상 벌어지면서 강한 구름이 지속해서 만들어지는 겁니다.
[앵커]
지난번엔 수도권이더니 이번에는 눈이 충남·호남에 집중됐네요?
[기자]
맞습니다.
사실 지난 11월 수도권과 이번 서해안 폭설의 원인은 비슷합니다.
대기 상층 흐름이 정체되면서 상층 찬 공기가 하층으로 계속해서 내려왔고, 찬 공기가 서해를 지나면서 발달한 구름이 들어온 건 똑같은데요.
문제는 '한파'입니다. 11월에는 춥지 않았죠.
그러니까 대기 하층 공기는 여전히 따뜻한데 상층에서 찬 공기가 내려와 따뜻한 공기와 충돌하면서 저기압이 만들어진 건데요.
저기압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빙글빙글 돌면서 지나가기 때문에 지속적인 북서풍이 불지 않고요.
11월에는 구름대를 품고 있는 저기압이 지났던 곳이 수도권이었기 때문에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에 폭설이 쏟아졌던 거고요.
이번에는 한파가 더해지면서 하층에도 기온이 굉장히 낮아 춥습니다.
이미 찬 공기가 있는 상태에서 더 찬 공기가 내려오는 거라 저기압이 만들어지지는 않고, 바람따라 북서풍을 타고 충남과 호남 부근으로 눈구름이 들어오는 겁니다.
바람 방향이 눈이 내리는 구역을 좌우하는데요.
화면 보실까요?
현재를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내린 눈 상황인데요.
충남과 전북, 전남 일부에만 몰려있죠.
북서풍 중에서도 바람이 충남과 전북 방향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같은 호남이라도 전남 남부는 폭설이 쏟아지지 않은 겁니다.
[질문4]
전북에는 앞으로 30cm가 더 내린다고요???
[기자]
모레까지 예상되는 눈구름의 분포도 보실까요?
보라색이 눈구름인데요.
충남과 호남에는 내일 밤, 모레 새벽까지도 이렇게 눈구름이 예상돼있습니다.
눈이 쉬지 않고 강하게 쏟아지는 건 아니고요.
지금처럼 강약을 반복하면서 내리겠는데요.
어제 예보에서는 내일까지 전북에 30cm 이상의 눈이 내릴 것으로 전망됐었는데,
이미 많은 눈이 내린 상황에서 새로 나온 예보에서도 여전히 전북에는 30cm 이상, 광주·전남과 충남 서해안에 20cm 이상으로 발표됐습니다.
눈이 내리는 시점이 내일에서 모레 새벽까지로 늘어나긴 했지만, 지금까지 내린 양보다 앞으로 내릴 눈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건데요.
특히 내일까지 일시적으로는 시간당 3에서 5cm의 강한 눈이 집중될 때도 있을 것으로 보여 주의가 필요합니다.
[앵커]
많은 눈이 내린 데 이어 더 많은 눈이 예보돼 걱정인데요. 이번에도 무거운 '습설'인 거죠?
[기자]
맞습니다.
서해에서 만들어진 눈구름이다 보니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졌다고 하더라도 눈의 성질은 습기가 많은 '습설'입니다.
눈 자체가 무거운 것도 있지만, 문제는 기온이 낮아서 쌓인 눈이 그대로 얼어버린다는 건데요.
그런데 눈이 계속 내리니까 얼어있는 곳 위에 눈이 또 덮여서 어디가 위험한지 알 수 없게 됩니다.
눈이 보송보송해서 미끄럽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고 밟았다가 그 아래가 빙판이면 그대로 미끄러질 위험이 있는 겁니다.
눈이 쌓여있는 곳은 조심하시고, 가능하면 제설 작업이 잘 된 길을 통해 이동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앵커]
추위도 알아보죠. 오늘도 꽤 추웠는데, 내일은 더 강한 추위가 온다고요?
[기자]
네, 앞서 폭설 원인 살펴보면서 대기 상층 흐름이 정체돼서 저기압이 이동하지 못하고 계속 상층 찬 공기를 하층으로 내려보내고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상층 일기도 보겠습니다.
한반도 북쪽에 땅콩 모양의 붉은색 두 덩어리 보이시나요?
상층에서 정체되어있는 영하 40도 이하의 찬 공기를 품고 있는 저기압인데요.
이 중 왼쪽에 있는 저기압 덩어리가 오늘 밤부터 내일 사이에 우리나라로 내려옵니다.
그래서 내일 아침이 가장 추운, 한파가 절정에 달하는 겁니다.
[앵커]
한파특보가 확대 강화되면서 서울에도 이번 겨울 들어 첫 한파주의보가 내려졌다면서요?
[기자]
맞습니다.
원래 추운 지역인 강원도와 경기 북동부에는 한파특보가 내려졌다가 해제되기를 반복했지만,
서울은 큰 추위가 없었던 탓에 발령되지 않았다가 오늘 오전 10시에 처음으로 내려졌습니다.
한파특보의 기준이 조금 까다롭기 때문인데요.
우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도 이상 떨어져서 3도 이하일 것으로 예상될 때 내려지고,
두 번째는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2도 이하의 강추위가 이틀 이상 이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되는데요.
이번 한파특보의 해당 사항입니다.
서울 아침 기온이 내일과 모레 영하 12도로 예상되고요, 특히 내일 체감온도는 영하 18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체감온도가 영하 18도면 추위가 정말 어마어마할 것 같은데요, 그런데 체감온도는 사람마다 느끼는 게 다르지 않나요?
[기자]
맞습니다.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들은 몸이 떨릴 정도로 춥지만, 열이 많은 사람은 별일 아니라는 듯 넘기는 경우가 많죠.
사람마다 추위를 느끼는 정도가 달라서 체감온도는 정확하게 측정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픽 화면 보실까요?
굉장히 복잡해 보이는 수식인데요.
2001년에 미국과 캐나다에서 개발한 공식인데, 실제 인간이 느끼는 추위를 반영하기 위해서 바람이 체온을 얼마나 빼앗아 가는지를 연구하다가 만들어진 공식입니다.
기온과 바람으로 방정식을 풀어서 체감온도를 계산하는 건데요.
체감온도는 결국 바람이 좌우하는 거라, 바람이 강해질수록 체감온도는 낮아지고 바람이 없는 상태에서는 기온과 체감온도가 같아지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체감 온도가 영하 20도 안팎으로 내려가면 맨살에 공기만 맞닿아도 따가울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이렇게 추워지면 동파 등 한파로 인한 피해도 우려되는데요. 대비 방법이 있나요?
[기자]
네, 영하 10도 이하의 추운 날씨에서는 수도관 속 물 온도도 0도 이하로 떨어져서 얼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이 얼면 부피가 9% 이상 증가하면서 계량기 유리 부분이 깨질 수 있는데요.
동파 사고를 방지하려면 계량기함 내부를 헌 옷이나 솜, 뽁뽁이 같은 보온재로 채워줘야 하고요.
장시간 외출한다면 수도꼭지를 약하게 틀어 놓는 게 좋습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이번 한파, 언제까지 이어지는지 전망 짚어주시죠.
[기자]
네, 조금 전에 봤던 상층 일기도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상층 찬 공기 덩어리가 내일 우리나라로 내려와서 점차 동쪽으로 빠지는데요.
모레인 금요일 새벽 상황 보겠습니다.
이렇게 상층의 메인 공기 덩어리는 빠져나갔지만, 찬 공기는 일부 남아있는데요.
내일 이미 공기가 차가워진 상황에서 밤사이에는 땅에서 열이 빠져나가는 '복사냉각'이 겹쳐 모레 아침까지는 매서운 추위가 이어지겠고요.
이후에는 추위의 강도가 점차 누그러지면서 주말 이후에는 평년 기온을 회복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민경 (kimmin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서해안 폭설의 원인과 한파 전망까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민경 YTN 기상·재난전문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먼저 폭설 상황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충남과 호남 눈, 얼마나 내린 건가요?
[기자]
네, 어제 오후부터 지금까지 눈구름의 이동을 볼 수 있는 레이더 영상을 준비했는데요.
화면 보실까요?
북서쪽에서 눈구름대가 충남과 호남으로 끊임없이 밀려들어 옵니다.
그런데 눈구름대 중 일부는 강하게 발달했고, 일부는 약한 상태로 섞여 있어서 어떤 구름대가 들어오느냐에 따라 눈이 강하게 쏟아졌다 약해지기를 반복했는데요.
순창과 부안 등 전북 지역에는 15cm 안팎, 충남 서천과 경남 함양 등 영남 서쪽 지역에서도 10cm 안팎의 눈이 내렸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원인도 궁금한데요.
서해에서는 왜 그렇게 계속해서 구름이 만들어지는 건가요?
[기자]
네, 가장 큰 이유는 찬 공기가 바람을 타고 상대적으로 따뜻한 서해를 지나 우리나라로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공기와 바다의 온도 차가 클수록 구름이 강하게 발달하는데요.
거슬러 올라가 보면, 대기 상층의 흐름이 정체된 탓에 저기압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톱니바퀴처럼 제자리에서 돌면서 영하 40도 이하의 매우 찬 공기를 미끄럼틀 타듯이 계속 내려보내고 있습니다.
상층에서 내려온 찬 공기가 대기 하층에서는 북서쪽 시베리아 부근의 찬 대륙 고기압을 강하게 발달시켜서 우리나라로 차가운 공기를 지속적으로 내보내는 건데요.
하층에서도 워낙 공기가 차가운 탓에 바다와의 온도 차가 30도 이상 벌어지면서 강한 구름이 지속해서 만들어지는 겁니다.
[앵커]
지난번엔 수도권이더니 이번에는 눈이 충남·호남에 집중됐네요?
[기자]
맞습니다.
사실 지난 11월 수도권과 이번 서해안 폭설의 원인은 비슷합니다.
대기 상층 흐름이 정체되면서 상층 찬 공기가 하층으로 계속해서 내려왔고, 찬 공기가 서해를 지나면서 발달한 구름이 들어온 건 똑같은데요.
문제는 '한파'입니다. 11월에는 춥지 않았죠.
그러니까 대기 하층 공기는 여전히 따뜻한데 상층에서 찬 공기가 내려와 따뜻한 공기와 충돌하면서 저기압이 만들어진 건데요.
저기압은 시계 반대방향으로 빙글빙글 돌면서 지나가기 때문에 지속적인 북서풍이 불지 않고요.
11월에는 구름대를 품고 있는 저기압이 지났던 곳이 수도권이었기 때문에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에 폭설이 쏟아졌던 거고요.
이번에는 한파가 더해지면서 하층에도 기온이 굉장히 낮아 춥습니다.
이미 찬 공기가 있는 상태에서 더 찬 공기가 내려오는 거라 저기압이 만들어지지는 않고, 바람따라 북서풍을 타고 충남과 호남 부근으로 눈구름이 들어오는 겁니다.
바람 방향이 눈이 내리는 구역을 좌우하는데요.
화면 보실까요?
현재를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내린 눈 상황인데요.
충남과 전북, 전남 일부에만 몰려있죠.
북서풍 중에서도 바람이 충남과 전북 방향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같은 호남이라도 전남 남부는 폭설이 쏟아지지 않은 겁니다.
[질문4]
전북에는 앞으로 30cm가 더 내린다고요???
[기자]
모레까지 예상되는 눈구름의 분포도 보실까요?
보라색이 눈구름인데요.
충남과 호남에는 내일 밤, 모레 새벽까지도 이렇게 눈구름이 예상돼있습니다.
눈이 쉬지 않고 강하게 쏟아지는 건 아니고요.
지금처럼 강약을 반복하면서 내리겠는데요.
어제 예보에서는 내일까지 전북에 30cm 이상의 눈이 내릴 것으로 전망됐었는데,
이미 많은 눈이 내린 상황에서 새로 나온 예보에서도 여전히 전북에는 30cm 이상, 광주·전남과 충남 서해안에 20cm 이상으로 발표됐습니다.
눈이 내리는 시점이 내일에서 모레 새벽까지로 늘어나긴 했지만, 지금까지 내린 양보다 앞으로 내릴 눈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건데요.
특히 내일까지 일시적으로는 시간당 3에서 5cm의 강한 눈이 집중될 때도 있을 것으로 보여 주의가 필요합니다.
[앵커]
많은 눈이 내린 데 이어 더 많은 눈이 예보돼 걱정인데요. 이번에도 무거운 '습설'인 거죠?
[기자]
맞습니다.
서해에서 만들어진 눈구름이다 보니 기온이 영하권으로 떨어졌다고 하더라도 눈의 성질은 습기가 많은 '습설'입니다.
눈 자체가 무거운 것도 있지만, 문제는 기온이 낮아서 쌓인 눈이 그대로 얼어버린다는 건데요.
그런데 눈이 계속 내리니까 얼어있는 곳 위에 눈이 또 덮여서 어디가 위험한지 알 수 없게 됩니다.
눈이 보송보송해서 미끄럽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고 밟았다가 그 아래가 빙판이면 그대로 미끄러질 위험이 있는 겁니다.
눈이 쌓여있는 곳은 조심하시고, 가능하면 제설 작업이 잘 된 길을 통해 이동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앵커]
추위도 알아보죠. 오늘도 꽤 추웠는데, 내일은 더 강한 추위가 온다고요?
[기자]
네, 앞서 폭설 원인 살펴보면서 대기 상층 흐름이 정체돼서 저기압이 이동하지 못하고 계속 상층 찬 공기를 하층으로 내려보내고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상층 일기도 보겠습니다.
한반도 북쪽에 땅콩 모양의 붉은색 두 덩어리 보이시나요?
상층에서 정체되어있는 영하 40도 이하의 찬 공기를 품고 있는 저기압인데요.
이 중 왼쪽에 있는 저기압 덩어리가 오늘 밤부터 내일 사이에 우리나라로 내려옵니다.
그래서 내일 아침이 가장 추운, 한파가 절정에 달하는 겁니다.
[앵커]
한파특보가 확대 강화되면서 서울에도 이번 겨울 들어 첫 한파주의보가 내려졌다면서요?
[기자]
맞습니다.
원래 추운 지역인 강원도와 경기 북동부에는 한파특보가 내려졌다가 해제되기를 반복했지만,
서울은 큰 추위가 없었던 탓에 발령되지 않았다가 오늘 오전 10시에 처음으로 내려졌습니다.
한파특보의 기준이 조금 까다롭기 때문인데요.
우선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도 이상 떨어져서 3도 이하일 것으로 예상될 때 내려지고,
두 번째는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2도 이하의 강추위가 이틀 이상 이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되는데요.
이번 한파특보의 해당 사항입니다.
서울 아침 기온이 내일과 모레 영하 12도로 예상되고요, 특히 내일 체감온도는 영하 18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체감온도가 영하 18도면 추위가 정말 어마어마할 것 같은데요, 그런데 체감온도는 사람마다 느끼는 게 다르지 않나요?
[기자]
맞습니다.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들은 몸이 떨릴 정도로 춥지만, 열이 많은 사람은 별일 아니라는 듯 넘기는 경우가 많죠.
사람마다 추위를 느끼는 정도가 달라서 체감온도는 정확하게 측정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픽 화면 보실까요?
굉장히 복잡해 보이는 수식인데요.
2001년에 미국과 캐나다에서 개발한 공식인데, 실제 인간이 느끼는 추위를 반영하기 위해서 바람이 체온을 얼마나 빼앗아 가는지를 연구하다가 만들어진 공식입니다.
기온과 바람으로 방정식을 풀어서 체감온도를 계산하는 건데요.
체감온도는 결국 바람이 좌우하는 거라, 바람이 강해질수록 체감온도는 낮아지고 바람이 없는 상태에서는 기온과 체감온도가 같아지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체감 온도가 영하 20도 안팎으로 내려가면 맨살에 공기만 맞닿아도 따가울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이렇게 추워지면 동파 등 한파로 인한 피해도 우려되는데요. 대비 방법이 있나요?
[기자]
네, 영하 10도 이하의 추운 날씨에서는 수도관 속 물 온도도 0도 이하로 떨어져서 얼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이 얼면 부피가 9% 이상 증가하면서 계량기 유리 부분이 깨질 수 있는데요.
동파 사고를 방지하려면 계량기함 내부를 헌 옷이나 솜, 뽁뽁이 같은 보온재로 채워줘야 하고요.
장시간 외출한다면 수도꼭지를 약하게 틀어 놓는 게 좋습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이번 한파, 언제까지 이어지는지 전망 짚어주시죠.
[기자]
네, 조금 전에 봤던 상층 일기도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상층 찬 공기 덩어리가 내일 우리나라로 내려와서 점차 동쪽으로 빠지는데요.
모레인 금요일 새벽 상황 보겠습니다.
이렇게 상층의 메인 공기 덩어리는 빠져나갔지만, 찬 공기는 일부 남아있는데요.
내일 이미 공기가 차가워진 상황에서 밤사이에는 땅에서 열이 빠져나가는 '복사냉각'이 겹쳐 모레 아침까지는 매서운 추위가 이어지겠고요.
이후에는 추위의 강도가 점차 누그러지면서 주말 이후에는 평년 기온을 회복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민경 (kimmin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