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강력한 '입춘 한파'가 전국을 덮치며 한겨울보다 더한 추위가 나타났습니다.
바깥에 둔 계란은 돌덩이처럼 얼어붙었고, 한강 둔치에는 고드름이 곳곳에 생겨났습니다.
매서운 추위, 언제까지 이어질지 김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더욱 강해진 '입춘 한파'가 덮친 도심 출근길.
마스크와 목도리로 얼굴을 감싸도 스며드는 냉기에 시민들은 손안의 핫팩을 꼭 감싸 쥐고 얼어붙은 손끝을 녹입니다.
[민병혁 / 서울 양천구 목동 : 너무 추워요. 나오자마자 공기가 너무 추웠어요. 콧속에 들어오는 바람이 차다고 느꼈어요.]
[홍시원 / 서울 마포구 아현동 : 동상 걸린 것 같아요. 스케이트 타니까 너무 차가워서 빨리 그만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원도 양양 설악산은 아침 기온이 영하 22.7도까지 떨어졌고,
대관령 영하 17.5도, 서울도 영하 11.5도 등 전국이 강추위에 휩싸였습니다.
찬 바람에 산간 지역의 체감온도는 영하 30도 이하, 서울도 영하 20도에 육박했습니다.
한반도를 덮친 강추위의 원인은 대기 상층에서 뜨거운 공기가 한반도 양옆을 가로막아 이른바 '블로킹', 거대한 벽처럼 만들어지면서
우리나라 주변에 남북으로 3,000km에 달하는 거대한 저기압 소용돌이가 정체해 찬 공기를 계속 끌어내리기 때문입니다.
[김병권 / 기상청 예보분석관 : 이번 한파는 대기 상층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한반도 주변에 찬 소용돌이가 정체하면서 지속적으로 찬 공기를 내려보내 강추위가 장기화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실험 삼아 바깥에 깨 놓은 달걀은 1시간여 만에 돌덩이처럼 접시에 얼어붙었습니다.
매서운 추위에도 한강은 아직 얼지 않았지만, 둔치에는 이렇게 고드름이 맺히고 군데군데 얼음이 만들어졌습니다.
이번 겨울 첫 한파경보가 내려진 서울은 한낮에도 최고기온이 영하 5.3도에 머물렀고, 전국이 종일 영하권에 갇혔습니다.
한파특보가 남부 내륙까지 확대·강화된 가운데, 추위의 기세는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남민지 / 기상청 예보분석관 : 상층에 찬 공기가 머물면서 6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 아침 기온은 영하 10도 이하로 낮겠습니다.]
매서운 '입춘 한파'는 이번 주 내내 기승을 부리다 다음 주 초반에는 평년 기온을 회복할 전망입니다.
YTN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 : 진형욱 왕시온
디자인 : 지경윤 김도윤
YTN 김민경 (kimmin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강력한 '입춘 한파'가 전국을 덮치며 한겨울보다 더한 추위가 나타났습니다.
바깥에 둔 계란은 돌덩이처럼 얼어붙었고, 한강 둔치에는 고드름이 곳곳에 생겨났습니다.
매서운 추위, 언제까지 이어질지 김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더욱 강해진 '입춘 한파'가 덮친 도심 출근길.
마스크와 목도리로 얼굴을 감싸도 스며드는 냉기에 시민들은 손안의 핫팩을 꼭 감싸 쥐고 얼어붙은 손끝을 녹입니다.
[민병혁 / 서울 양천구 목동 : 너무 추워요. 나오자마자 공기가 너무 추웠어요. 콧속에 들어오는 바람이 차다고 느꼈어요.]
[홍시원 / 서울 마포구 아현동 : 동상 걸린 것 같아요. 스케이트 타니까 너무 차가워서 빨리 그만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원도 양양 설악산은 아침 기온이 영하 22.7도까지 떨어졌고,
대관령 영하 17.5도, 서울도 영하 11.5도 등 전국이 강추위에 휩싸였습니다.
찬 바람에 산간 지역의 체감온도는 영하 30도 이하, 서울도 영하 20도에 육박했습니다.
한반도를 덮친 강추위의 원인은 대기 상층에서 뜨거운 공기가 한반도 양옆을 가로막아 이른바 '블로킹', 거대한 벽처럼 만들어지면서
우리나라 주변에 남북으로 3,000km에 달하는 거대한 저기압 소용돌이가 정체해 찬 공기를 계속 끌어내리기 때문입니다.
[김병권 / 기상청 예보분석관 : 이번 한파는 대기 상층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한반도 주변에 찬 소용돌이가 정체하면서 지속적으로 찬 공기를 내려보내 강추위가 장기화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실험 삼아 바깥에 깨 놓은 달걀은 1시간여 만에 돌덩이처럼 접시에 얼어붙었습니다.
매서운 추위에도 한강은 아직 얼지 않았지만, 둔치에는 이렇게 고드름이 맺히고 군데군데 얼음이 만들어졌습니다.
이번 겨울 첫 한파경보가 내려진 서울은 한낮에도 최고기온이 영하 5.3도에 머물렀고, 전국이 종일 영하권에 갇혔습니다.
한파특보가 남부 내륙까지 확대·강화된 가운데, 추위의 기세는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남민지 / 기상청 예보분석관 : 상층에 찬 공기가 머물면서 6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 아침 기온은 영하 10도 이하로 낮겠습니다.]
매서운 '입춘 한파'는 이번 주 내내 기승을 부리다 다음 주 초반에는 평년 기온을 회복할 전망입니다.
YTN 김민경입니다.
촬영기자 : 진형욱 왕시온
디자인 : 지경윤 김도윤
YTN 김민경 (kimmin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